[인터뷰] ‘늑대’ 전성태 소설가 “작가의 책상은 ‘세계의 고통’ 나누는 공간”

입력 2021.09.05 (21:31) 수정 2021.09.05 (21: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성태/소설가

Q. 몽골 여행에서 받은 인상은?

시원, 땅이 막 열리고 시간이 열리고 이런 어떤 이미지가, 몽골 고원이라는 데가 그런 이미지였고 굉장히 먼, 시간이 굉장히 이렇게 아주 먼 시간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진짜 우리 한민족이 아니라 인류에게는 무슨 고향 같은 그런 느낌으로 돌아왔다면, 인식이 되었다면, 이게 그러니까 대지로서의 몽골이라면 뒤에 거기 그 소설에서 나오지만 또 오랫동안 사회주의 국가에 있다가 자본주의로 바뀐 지 아주 오래 되지 않은 혼란사, 그 시간들, 아주 우리나라가 근대화를 해 오면서 만났던 풍경들이 거기는 더 짧은 시간 안에서 지금 재현되고 있는 느낌.

Q. '늑대'를 소재로 택한 이유는?

몽골인들이 가장 증오하면서도 경외하는, 그러니까 미워하면서도 자기의 어떤 금기 안에서 늑대를 갖다가 굉장히 받드는 이 두 가지 측면을, 양가적 측면을 다 늑대는 가지고 있어요. 대지로서의 몽골에 대한 생각과 자본주의화된, 시장 경제를 받아들이는 그 몽골의 이 두 이미지를 어떻게 소설 안에서 잡아낼 수 있을까 오랫동안 고민하다가 몽골인들이 늑대를 바라보는 어떤 시선들을 알게 되고 그 마음을 알게 되고 그런 곳?, 저 늑대다. 늑대가 결국은 그 두 이미지를 갖다가 잡아낼 수 있는 상징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소설을 쓰게 된 것 같아요.

Q. 몽골에서 우리 사회의 어떤 면이 보였나?

90년대 오면서 80년대의 어떤 우리가 가졌던 전망이라든가 열정들에 대해서 회의했던 것이라기보다는 객관화하는 시간들이 있었다. 저한테도 역시 분단이라든가 근대화라든가 제가 어린 시절부터 이렇게 가져왔던 것, 그 다음에 문학으로부터 세뇌받았던 것들을 작가가 돼서 몽골에 갔는데 오히려 거기에 우리의 어떤 사진첩이 있었다고 할까요. 몽골이라는 사회가 우리가 지나왔던 어떤 시간들을 담고 이게 이런 모습이었다라는 것을 너무 선명하게 보여주고 그랬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몽골이라는 곳에서 소설책을? 갖다가 이어서 쓸 수 있었다. 한국에서 쓰던 이야기들을 이어서 쓸 수 있었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Q. 단편 <강을 건너는 사람들>이 인상깊은데...

저는 그게 이제 탈북자들을 상상해서 쓴 것은 맞는데 되게 조심스러웠어요. 예를 들면 우리는 북한을 아주 잘 아는 것도 아니고, 또 그 당시에 북한은 굉장히 고난의 행군을 하고 있어서 꽃제비니 굶주린 세대들이 있었고 그런 것인데 아주 가까이에서 우리는 같이 살아가는데 너무 다른 세계를 살고 있었잖아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그게 소설의 소재가 되거나 사실 이런 것은 원치 않았고 그러다 보니까 그 안에서 나름대로 얘기가 딱 북한이야 하는 느낌을 좀 많이 지워내고 국경이라는 데 너무 너무 온도들이 다 다르고 이 난민들이 생기고, 경제적 난민들이 생기고 이런 데의 이야기들을 한번 좀 다뤄보고 싶은데 그 이야기를 좀 다뤄보고 싶은데 아마 제가 기술이 좀 부족해서 누가 보든 그게 북한이다 이렇게 읽히게 써놓았는데 지금도 여전히 조심스러워요.

Q. 단편 <이미테이션>은 자전적 소설?

어렸을 때는 되게 놀림을 많이 받았어요. 이미테이션 안에 100% 자연적인 것은 아니지만 혼혈 취급을 아주 많이 받고 자라서 거기에 나오는 에피소드 일부는 제 에피소드이기도 하고 그래서 아마 그런 소설을 좀 약간 자기 자신을 희화화하면서 좀 재미있게 쓸 수 있었던 것 같아요.

Q. '경계인의 의식'이 중요한 까닭은?

글쓰는 사람도 마찬가지이고 글 쓰는 사람도 어떤 문제의 중심에 놓치 말고 자기를 모서리나 경계로 이렇게 가져가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어떤 측면들이 열리고, 국경도 넘어서 우리가 뭔가 더불어 계속 살아가야 되는 사람들이라면 항상 내가 이 대한민국 사람과, 그 다음에 이주해 온 사람과의 그 경계에 서 있으면 저 사람을 타자로 밀어내지 않을 것이고, 그 다음에 뭔가 이것이, 내가 지켜야 될 이것만이 보이지도 않을 것이고 그런 과정에 우리가 많은 갈등들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해소도 될 것이고 좀 우리 사회가 좀 더 건강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요. 우리는 가급적 자기를 항상 경계에 놓으려고 해야만 될 것 같고, 경계인의 의식이 아주, 그런 경계인 의식을 막 가지는 시민들이 많아지는 사회가 저는 바로 아주 수준높고 건강한 사회라는 생각이 들어요.

Q. 다음 작품 구상은?

장편 같은 경우는 어쨌든 제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1970년대, 그 다음에 80년대, 그리고 조금 더 앞선 세대, 아버님이 살았던 세대까지 포함해서 고향 쪽 무대로 하는 장편들 좀 생각 한번 하고 있고, 그리고 저는 대학 다닐 때 총학생회장이 의문사를 당하고 이런 시절을 보냈는데 그 때 같이 했던 세대가 50대, 또 60대 이렇게 되었어요. 그래서 그 세대의 변화 이야기들을 한번 담아보고 싶고, 그리고 제가 요즘에 순천 지역에서 지내고 있는데 이번에 여순 항쟁이 법적으로 마련됐잖아요. 그래서 여순 항쟁을 좀 더 현재화할 수 있는 어떤 소설 한 편을 또 써보고 싶고 지금 현재는 그런 한 세 편 정도를 구상하고 있어요.

Q. 작가는 어떤 존재?

결국은 작가가 아주 작은 책상 위에서 세계를 궁리하지만 그 책상 위로 결국은 세계의 고통이 이렇게 당도해야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작가의 책상은 그런 책상인 것 같아요. 고통을 나누는 책상이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무엇보다도 작가가 이 세계를 느끼고 함께 고통을 느껴줬을 때 그 문학작품이 독자들에게도 의미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많이 해요.

편집:이도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터뷰] ‘늑대’ 전성태 소설가 “작가의 책상은 ‘세계의 고통’ 나누는 공간”
    • 입력 2021-09-05 21:31:11
    • 수정2021-09-05 21:31:32
    현장영상
전성태/소설가

Q. 몽골 여행에서 받은 인상은?

시원, 땅이 막 열리고 시간이 열리고 이런 어떤 이미지가, 몽골 고원이라는 데가 그런 이미지였고 굉장히 먼, 시간이 굉장히 이렇게 아주 먼 시간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진짜 우리 한민족이 아니라 인류에게는 무슨 고향 같은 그런 느낌으로 돌아왔다면, 인식이 되었다면, 이게 그러니까 대지로서의 몽골이라면 뒤에 거기 그 소설에서 나오지만 또 오랫동안 사회주의 국가에 있다가 자본주의로 바뀐 지 아주 오래 되지 않은 혼란사, 그 시간들, 아주 우리나라가 근대화를 해 오면서 만났던 풍경들이 거기는 더 짧은 시간 안에서 지금 재현되고 있는 느낌.

Q. '늑대'를 소재로 택한 이유는?

몽골인들이 가장 증오하면서도 경외하는, 그러니까 미워하면서도 자기의 어떤 금기 안에서 늑대를 갖다가 굉장히 받드는 이 두 가지 측면을, 양가적 측면을 다 늑대는 가지고 있어요. 대지로서의 몽골에 대한 생각과 자본주의화된, 시장 경제를 받아들이는 그 몽골의 이 두 이미지를 어떻게 소설 안에서 잡아낼 수 있을까 오랫동안 고민하다가 몽골인들이 늑대를 바라보는 어떤 시선들을 알게 되고 그 마음을 알게 되고 그런 곳?, 저 늑대다. 늑대가 결국은 그 두 이미지를 갖다가 잡아낼 수 있는 상징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소설을 쓰게 된 것 같아요.

Q. 몽골에서 우리 사회의 어떤 면이 보였나?

90년대 오면서 80년대의 어떤 우리가 가졌던 전망이라든가 열정들에 대해서 회의했던 것이라기보다는 객관화하는 시간들이 있었다. 저한테도 역시 분단이라든가 근대화라든가 제가 어린 시절부터 이렇게 가져왔던 것, 그 다음에 문학으로부터 세뇌받았던 것들을 작가가 돼서 몽골에 갔는데 오히려 거기에 우리의 어떤 사진첩이 있었다고 할까요. 몽골이라는 사회가 우리가 지나왔던 어떤 시간들을 담고 이게 이런 모습이었다라는 것을 너무 선명하게 보여주고 그랬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몽골이라는 곳에서 소설책을? 갖다가 이어서 쓸 수 있었다. 한국에서 쓰던 이야기들을 이어서 쓸 수 있었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Q. 단편 <강을 건너는 사람들>이 인상깊은데...

저는 그게 이제 탈북자들을 상상해서 쓴 것은 맞는데 되게 조심스러웠어요. 예를 들면 우리는 북한을 아주 잘 아는 것도 아니고, 또 그 당시에 북한은 굉장히 고난의 행군을 하고 있어서 꽃제비니 굶주린 세대들이 있었고 그런 것인데 아주 가까이에서 우리는 같이 살아가는데 너무 다른 세계를 살고 있었잖아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그게 소설의 소재가 되거나 사실 이런 것은 원치 않았고 그러다 보니까 그 안에서 나름대로 얘기가 딱 북한이야 하는 느낌을 좀 많이 지워내고 국경이라는 데 너무 너무 온도들이 다 다르고 이 난민들이 생기고, 경제적 난민들이 생기고 이런 데의 이야기들을 한번 좀 다뤄보고 싶은데 그 이야기를 좀 다뤄보고 싶은데 아마 제가 기술이 좀 부족해서 누가 보든 그게 북한이다 이렇게 읽히게 써놓았는데 지금도 여전히 조심스러워요.

Q. 단편 <이미테이션>은 자전적 소설?

어렸을 때는 되게 놀림을 많이 받았어요. 이미테이션 안에 100% 자연적인 것은 아니지만 혼혈 취급을 아주 많이 받고 자라서 거기에 나오는 에피소드 일부는 제 에피소드이기도 하고 그래서 아마 그런 소설을 좀 약간 자기 자신을 희화화하면서 좀 재미있게 쓸 수 있었던 것 같아요.

Q. '경계인의 의식'이 중요한 까닭은?

글쓰는 사람도 마찬가지이고 글 쓰는 사람도 어떤 문제의 중심에 놓치 말고 자기를 모서리나 경계로 이렇게 가져가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어떤 측면들이 열리고, 국경도 넘어서 우리가 뭔가 더불어 계속 살아가야 되는 사람들이라면 항상 내가 이 대한민국 사람과, 그 다음에 이주해 온 사람과의 그 경계에 서 있으면 저 사람을 타자로 밀어내지 않을 것이고, 그 다음에 뭔가 이것이, 내가 지켜야 될 이것만이 보이지도 않을 것이고 그런 과정에 우리가 많은 갈등들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해소도 될 것이고 좀 우리 사회가 좀 더 건강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요. 우리는 가급적 자기를 항상 경계에 놓으려고 해야만 될 것 같고, 경계인의 의식이 아주, 그런 경계인 의식을 막 가지는 시민들이 많아지는 사회가 저는 바로 아주 수준높고 건강한 사회라는 생각이 들어요.

Q. 다음 작품 구상은?

장편 같은 경우는 어쨌든 제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1970년대, 그 다음에 80년대, 그리고 조금 더 앞선 세대, 아버님이 살았던 세대까지 포함해서 고향 쪽 무대로 하는 장편들 좀 생각 한번 하고 있고, 그리고 저는 대학 다닐 때 총학생회장이 의문사를 당하고 이런 시절을 보냈는데 그 때 같이 했던 세대가 50대, 또 60대 이렇게 되었어요. 그래서 그 세대의 변화 이야기들을 한번 담아보고 싶고, 그리고 제가 요즘에 순천 지역에서 지내고 있는데 이번에 여순 항쟁이 법적으로 마련됐잖아요. 그래서 여순 항쟁을 좀 더 현재화할 수 있는 어떤 소설 한 편을 또 써보고 싶고 지금 현재는 그런 한 세 편 정도를 구상하고 있어요.

Q. 작가는 어떤 존재?

결국은 작가가 아주 작은 책상 위에서 세계를 궁리하지만 그 책상 위로 결국은 세계의 고통이 이렇게 당도해야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작가의 책상은 그런 책상인 것 같아요. 고통을 나누는 책상이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무엇보다도 작가가 이 세계를 느끼고 함께 고통을 느껴줬을 때 그 문학작품이 독자들에게도 의미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많이 해요.

편집:이도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우리 시대의 소설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