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응답형 버스…“장애인은 못 타요”
입력 2025.04.11 (21:41)
수정 2025.04.12 (11: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중교통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RT'가 대구에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DRT 버스에는 전동 휠체어를 실을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이라고 합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체 장애인 이민호 씨가 수요응답형 버스 'DRT'를 호출합니다.
승객이 원하는 승차 장소와 하차 장소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운행되는 버스입니다.
그러나 이 씨는 DRT 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DRT 버스에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승강 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민호 : "모든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 자신이 원하는 교통수단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DRT만 배제한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교통약자법에 따르면 정기 노선을 가진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는 휠체어를 실을 승강 설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문제는 DRT가 정해진 노선이 없는 교통수단이어서 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노지성 : "장애인과 유모차 등 바퀴 달린 손님들을 고려하지 않은 교통수단이 늘어나는 현실이 매우 걱정됩니다."]
대구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나드리콜이 DRT를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허준석/대구시 교통국장 : "대구시는 DRT보다는 문전 서비스와 장거리 이동까지 가능한 나드리콜이 장애인 이동을 지원하는 데 더 우수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도입한 선진 대중교통 시스템.
하지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은 선진적이지 못하단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대중교통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RT'가 대구에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DRT 버스에는 전동 휠체어를 실을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이라고 합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체 장애인 이민호 씨가 수요응답형 버스 'DRT'를 호출합니다.
승객이 원하는 승차 장소와 하차 장소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운행되는 버스입니다.
그러나 이 씨는 DRT 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DRT 버스에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승강 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민호 : "모든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 자신이 원하는 교통수단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DRT만 배제한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교통약자법에 따르면 정기 노선을 가진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는 휠체어를 실을 승강 설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문제는 DRT가 정해진 노선이 없는 교통수단이어서 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노지성 : "장애인과 유모차 등 바퀴 달린 손님들을 고려하지 않은 교통수단이 늘어나는 현실이 매우 걱정됩니다."]
대구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나드리콜이 DRT를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허준석/대구시 교통국장 : "대구시는 DRT보다는 문전 서비스와 장거리 이동까지 가능한 나드리콜이 장애인 이동을 지원하는 데 더 우수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도입한 선진 대중교통 시스템.
하지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은 선진적이지 못하단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요응답형 버스…“장애인은 못 타요”
-
- 입력 2025-04-11 21:41:45
- 수정2025-04-12 11:09:31

[앵커]
대중교통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RT'가 대구에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DRT 버스에는 전동 휠체어를 실을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이라고 합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체 장애인 이민호 씨가 수요응답형 버스 'DRT'를 호출합니다.
승객이 원하는 승차 장소와 하차 장소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운행되는 버스입니다.
그러나 이 씨는 DRT 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DRT 버스에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승강 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민호 : "모든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 자신이 원하는 교통수단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DRT만 배제한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교통약자법에 따르면 정기 노선을 가진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는 휠체어를 실을 승강 설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문제는 DRT가 정해진 노선이 없는 교통수단이어서 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노지성 : "장애인과 유모차 등 바퀴 달린 손님들을 고려하지 않은 교통수단이 늘어나는 현실이 매우 걱정됩니다."]
대구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나드리콜이 DRT를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허준석/대구시 교통국장 : "대구시는 DRT보다는 문전 서비스와 장거리 이동까지 가능한 나드리콜이 장애인 이동을 지원하는 데 더 우수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도입한 선진 대중교통 시스템.
하지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은 선진적이지 못하단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대중교통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RT'가 대구에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DRT 버스에는 전동 휠체어를 실을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이라고 합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체 장애인 이민호 씨가 수요응답형 버스 'DRT'를 호출합니다.
승객이 원하는 승차 장소와 하차 장소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운행되는 버스입니다.
그러나 이 씨는 DRT 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DRT 버스에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승강 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민호 : "모든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 자신이 원하는 교통수단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DRT만 배제한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교통약자법에 따르면 정기 노선을 가진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는 휠체어를 실을 승강 설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문제는 DRT가 정해진 노선이 없는 교통수단이어서 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노지성 : "장애인과 유모차 등 바퀴 달린 손님들을 고려하지 않은 교통수단이 늘어나는 현실이 매우 걱정됩니다."]
대구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나드리콜이 DRT를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허준석/대구시 교통국장 : "대구시는 DRT보다는 문전 서비스와 장거리 이동까지 가능한 나드리콜이 장애인 이동을 지원하는 데 더 우수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도입한 선진 대중교통 시스템.
하지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은 선진적이지 못하단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
박진영 기자 jyp@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