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2027년식부터 중국산 커넥티드카 판매 금지…‘중국차 퇴출’ 수순

입력 2024.09.24 (06:11) 수정 2024.09.24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정부가 중국이나 러시아의 정보기술이 들어간 '스마트카'로 불리는 커넥티드 차량의 미국내 판매를 2027년식 모델부터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대선을 앞두고 전방위로 중국을 압박하는 움직임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 상무부가 중국이나 러시아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커넥티드 차량의 미국 내 판매와 수입을 금지하는 행정예고를 발표했습니다.

'스마트카'로 불리는 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네비게이션과 자율주행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이같은 차량이 해킹될 경우 도로 등 미국의 기반시설과 운전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국 도로에 있는 차를 해외에서 조종하는 게 가능해진다고 상무부는 설명했습니다.

국가 안보와 미국 운전자 보호를 위한 조치란 겁니다.

[지나 러몬도/미 상무장관/지난 4월 : "우리는 중국과 일반적인 무역은 하고 싶지만, 국가 안보에 영향을 끼치는 기술에 관해선 무역을 할 수 없습니다."]

판매 금지는 단계적으로 이뤄집니다.

소프트웨어는 2027년식, 하드웨어는 2030년식 모델부터 금지됩니다.

기술력이 떨어지는 러시아보단 중국을 겨냥한 조치란 분석이 나옵니다.

특히 대선을 앞두고 미국 자동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 위한 포석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지금은 미국 도로에 중국차가 적고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도 높지 않지만 미리 예방하지 않으면 언젠가 막대한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즉각 차별적 조치라며 반발했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은 미국이 국가안보의 개념을 넓혀 중국 관련 기업과 상품에 대해 차별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중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큰 자동차 산업 공급망에 일대 변환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업계에 미칠 영향도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한미희/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자련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2027년식부터 중국산 커넥티드카 판매 금지…‘중국차 퇴출’ 수순
    • 입력 2024-09-24 06:11:07
    • 수정2024-09-24 08:00:00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 정부가 중국이나 러시아의 정보기술이 들어간 '스마트카'로 불리는 커넥티드 차량의 미국내 판매를 2027년식 모델부터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대선을 앞두고 전방위로 중국을 압박하는 움직임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 상무부가 중국이나 러시아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커넥티드 차량의 미국 내 판매와 수입을 금지하는 행정예고를 발표했습니다.

'스마트카'로 불리는 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네비게이션과 자율주행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이같은 차량이 해킹될 경우 도로 등 미국의 기반시설과 운전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국 도로에 있는 차를 해외에서 조종하는 게 가능해진다고 상무부는 설명했습니다.

국가 안보와 미국 운전자 보호를 위한 조치란 겁니다.

[지나 러몬도/미 상무장관/지난 4월 : "우리는 중국과 일반적인 무역은 하고 싶지만, 국가 안보에 영향을 끼치는 기술에 관해선 무역을 할 수 없습니다."]

판매 금지는 단계적으로 이뤄집니다.

소프트웨어는 2027년식, 하드웨어는 2030년식 모델부터 금지됩니다.

기술력이 떨어지는 러시아보단 중국을 겨냥한 조치란 분석이 나옵니다.

특히 대선을 앞두고 미국 자동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 위한 포석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지금은 미국 도로에 중국차가 적고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도 높지 않지만 미리 예방하지 않으면 언젠가 막대한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즉각 차별적 조치라며 반발했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은 미국이 국가안보의 개념을 넓혀 중국 관련 기업과 상품에 대해 차별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중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큰 자동차 산업 공급망에 일대 변환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업계에 미칠 영향도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한미희/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자련 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