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정부와 신뢰 바탕 대화…최소한의 복귀 환경 마련돼”

입력 2025.07.10 (16:17) 수정 2025.07.10 (16: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가 오늘(10일) “정부가 신뢰를 주고 있는 만큼 의과대학생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됐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의협은 오늘 입장문을 내고 “지금은 의과대학생들의 교육 정상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김민석 국무총리, 이형훈 보건복지부 차관을 만난 것과 관련해 “다행히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대화하면서 문제를 함께 풀어보자는 데 의견을 함께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의협은 “아직 해결된 문제보다 해결돼야 할 문제가 훨씬 많다”면서도 “하지만 이 문제들이 해결될 때까지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기다릴 수는 없다”고 지적하며 다양한 대화채널을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그동안의 입장을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국가 대계를 위한 현명한 정책 결정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협은 대학을 향해 “학생들이 돌아오면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하는 어려움이 많겠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잘 만들어 주시리라 믿는다”고 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이후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은 김 총리가 취임 첫날인 지난 7일 김택우 의협 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대위원장 등과 만나면서 해소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김 총리와 3개 단체 면담에서 이뤄진 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긴 어렵다면서도 “교육부에서 만들어놓은 정책 방향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습니다.

또 “(고등교육법에 규정된 최소 수업 기간 등을 고려하면)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가 가능한 시간이 그다지 많이 남아있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나머지 여러 어젠더와 관련해서는 이전에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했던 내용을 하나하나 분리해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논의를 지속하자고 건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협 “정부와 신뢰 바탕 대화…최소한의 복귀 환경 마련돼”
    • 입력 2025-07-10 16:17:34
    • 수정2025-07-10 16:30:42
    사회
대한의사협회가 오늘(10일) “정부가 신뢰를 주고 있는 만큼 의과대학생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됐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의협은 오늘 입장문을 내고 “지금은 의과대학생들의 교육 정상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김민석 국무총리, 이형훈 보건복지부 차관을 만난 것과 관련해 “다행히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대화하면서 문제를 함께 풀어보자는 데 의견을 함께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의협은 “아직 해결된 문제보다 해결돼야 할 문제가 훨씬 많다”면서도 “하지만 이 문제들이 해결될 때까지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기다릴 수는 없다”고 지적하며 다양한 대화채널을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그동안의 입장을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국가 대계를 위한 현명한 정책 결정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협은 대학을 향해 “학생들이 돌아오면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하는 어려움이 많겠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잘 만들어 주시리라 믿는다”고 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이후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은 김 총리가 취임 첫날인 지난 7일 김택우 의협 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대위원장 등과 만나면서 해소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김 총리와 3개 단체 면담에서 이뤄진 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긴 어렵다면서도 “교육부에서 만들어놓은 정책 방향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습니다.

또 “(고등교육법에 규정된 최소 수업 기간 등을 고려하면)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가 가능한 시간이 그다지 많이 남아있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나머지 여러 어젠더와 관련해서는 이전에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했던 내용을 하나하나 분리해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논의를 지속하자고 건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