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주가 관세 우려에 3% 하락…시총 3조 달러 하회
입력 2025.05.06 (02:43)
수정 2025.05.06 (02: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비용 증가 우려 속에 또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 5일 미국 동부 시간 낮 12시 16분(서부 오전 9시 16분)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98% 내린 199.24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시가총액은 2조 9천750억 달러로 줄어들며, 3조 달러선을 다시 하회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준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애플이 지난 1일 발표한 1∼3월 실적은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월스트리트의 평균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그러나 관세 영향과 관련해 "이번 분기에 9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을 비롯해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지만, 애플은 여전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0%,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관세 부담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2년 만에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이르면 5일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으로, 회사채 발행은 2023년 5월 이후 처음입니다.
각각 기간이 다른 4개의 만기물로 회사채 발행은 계획되고 있으며, 10년물에 대해서는 국채 수익률 대비 0.7%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금리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발행 규모 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지난 3월 말 기준 애플의 장기 부채는 920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같은 시점의 약 1천130억 달러에 비해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각 5일 미국 동부 시간 낮 12시 16분(서부 오전 9시 16분)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98% 내린 199.24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시가총액은 2조 9천750억 달러로 줄어들며, 3조 달러선을 다시 하회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준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애플이 지난 1일 발표한 1∼3월 실적은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월스트리트의 평균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그러나 관세 영향과 관련해 "이번 분기에 9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을 비롯해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지만, 애플은 여전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0%,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관세 부담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2년 만에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이르면 5일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으로, 회사채 발행은 2023년 5월 이후 처음입니다.
각각 기간이 다른 4개의 만기물로 회사채 발행은 계획되고 있으며, 10년물에 대해서는 국채 수익률 대비 0.7%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금리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발행 규모 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지난 3월 말 기준 애플의 장기 부채는 920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같은 시점의 약 1천130억 달러에 비해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애플 주가 관세 우려에 3% 하락…시총 3조 달러 하회
-
- 입력 2025-05-06 02:43:12
- 수정2025-05-06 02:45:08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비용 증가 우려 속에 또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 5일 미국 동부 시간 낮 12시 16분(서부 오전 9시 16분)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98% 내린 199.24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시가총액은 2조 9천750억 달러로 줄어들며, 3조 달러선을 다시 하회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준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애플이 지난 1일 발표한 1∼3월 실적은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월스트리트의 평균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그러나 관세 영향과 관련해 "이번 분기에 9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을 비롯해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지만, 애플은 여전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0%,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관세 부담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2년 만에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이르면 5일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으로, 회사채 발행은 2023년 5월 이후 처음입니다.
각각 기간이 다른 4개의 만기물로 회사채 발행은 계획되고 있으며, 10년물에 대해서는 국채 수익률 대비 0.7%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금리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발행 규모 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지난 3월 말 기준 애플의 장기 부채는 920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같은 시점의 약 1천130억 달러에 비해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각 5일 미국 동부 시간 낮 12시 16분(서부 오전 9시 16분)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98% 내린 199.24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시가총액은 2조 9천750억 달러로 줄어들며, 3조 달러선을 다시 하회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준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애플이 지난 1일 발표한 1∼3월 실적은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월스트리트의 평균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그러나 관세 영향과 관련해 "이번 분기에 9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을 비롯해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지만, 애플은 여전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0%,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관세 부담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2년 만에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이르면 5일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으로, 회사채 발행은 2023년 5월 이후 처음입니다.
각각 기간이 다른 4개의 만기물로 회사채 발행은 계획되고 있으며, 10년물에 대해서는 국채 수익률 대비 0.7%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금리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발행 규모 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지난 3월 말 기준 애플의 장기 부채는 920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같은 시점의 약 1천130억 달러에 비해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