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7] 대선 40여 일 앞으로…강원 공약은?
입력 2025.04.16 (19:49)
수정 2025.04.16 (2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이제 4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도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이에 맞춰, 강원도와 강원 정치권 등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청초 기자, 대선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강원도는 이 상황,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나요?
[기자]
네, 대선 시계,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속도전입니다.
그만큼 강원도도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강원 대선공약 추진단을 꾸렸습니다.
강원도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강원연구원과 18개 시군, 강원도 실국 등이 모였습니다.
추진단은 급한대로 1차 공약 과제를 내놨습니다.
7대 분야 23개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표류하고 있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을 현안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국제학교 설립 등 1,2차 개정에 담지 못한 40개 특례를 입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농지와 산림, 환경, 군사 등 4대 규제 해소 확대도 목표로 삼았고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대표 공약인 미래첨단산업 7대 분야도 담겼습니다.
기존에 없던 연어, 방위산업, 기후테크 등이 있습니다.
사회기반시설, SOC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용문~홍천 철도, GTX-B, 제천~삼척 고속도로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폐광지역 내국인 면세점 설치, 체류형 관광 시설 확충, 농림수산업 고부가가치화도 내걸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까지 말씀해준 대선 공약 과제를 보니까, 왠지 익숙합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대부분 강원도 민선 8기 공약들이라, 귀에 익으신 것들이 많을 겁니다.
일정이 급하다보니, 기존 정책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점이 오히려 걱정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새로운 게 없다", "일부 정책은 전 정권에서 추진하던 것이라, 추진 동력 떨어질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우려들입니다.
물론, 강원도가 제시한 과제들은 아직 1차입니다.
강원 대선 공약 추진단은 이달 안에 신규 과제 발굴해 2차 과제를 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대선은 탄핵으로 치러지는 속도전입니다.
워낙 선거 기간도 짧고, 정당 세 대결이 치열하다보니, 지역 현안 논의 자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큽니다.
특히, 정당 경선이 급박하게 치러지다보니, 양대 정당의 후보 강원 방문 계획이 현재까지 없습니다.
반대로, 전국의 공약 반영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강원도가 현안을 국정과제에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전략이 무엇인지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앵커]
네, 강원도의 기민한 움직임 기대를 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원 정치권 동향도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짚어주시죠.
[기자]
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점점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국회의원들도 대선 후보 지지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송기헌 의원은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한 지지에 무게를 실을 전망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각자도생하는 양상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사무총장은 당 지도부로서 공정한 경선을 치르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아 온 한기호 의원은 경선 과정의 중립을 내세웠습니다.
친 윤석열, 친윤계 인사로 불렸던 이철규, 유상범 의원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유상범 의원은 홍 전 시장대선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습니다.
친한동훈, 친한계 박정하 의원은 계파에 걸맞게 한동훈 전 대표를 지지합니다.
다음 달 초 안에 각 정당 대선 후보가 속속 결정이 됩니다.
이후 중앙무대 선점을 위한 강원도와 정치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한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영상편집:신정철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이제 4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도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이에 맞춰, 강원도와 강원 정치권 등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청초 기자, 대선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강원도는 이 상황,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나요?
[기자]
네, 대선 시계,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속도전입니다.
그만큼 강원도도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강원 대선공약 추진단을 꾸렸습니다.
강원도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강원연구원과 18개 시군, 강원도 실국 등이 모였습니다.
추진단은 급한대로 1차 공약 과제를 내놨습니다.
7대 분야 23개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표류하고 있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을 현안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국제학교 설립 등 1,2차 개정에 담지 못한 40개 특례를 입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농지와 산림, 환경, 군사 등 4대 규제 해소 확대도 목표로 삼았고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대표 공약인 미래첨단산업 7대 분야도 담겼습니다.
기존에 없던 연어, 방위산업, 기후테크 등이 있습니다.
사회기반시설, SOC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용문~홍천 철도, GTX-B, 제천~삼척 고속도로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폐광지역 내국인 면세점 설치, 체류형 관광 시설 확충, 농림수산업 고부가가치화도 내걸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까지 말씀해준 대선 공약 과제를 보니까, 왠지 익숙합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대부분 강원도 민선 8기 공약들이라, 귀에 익으신 것들이 많을 겁니다.
일정이 급하다보니, 기존 정책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점이 오히려 걱정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새로운 게 없다", "일부 정책은 전 정권에서 추진하던 것이라, 추진 동력 떨어질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우려들입니다.
물론, 강원도가 제시한 과제들은 아직 1차입니다.
강원 대선 공약 추진단은 이달 안에 신규 과제 발굴해 2차 과제를 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대선은 탄핵으로 치러지는 속도전입니다.
워낙 선거 기간도 짧고, 정당 세 대결이 치열하다보니, 지역 현안 논의 자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큽니다.
특히, 정당 경선이 급박하게 치러지다보니, 양대 정당의 후보 강원 방문 계획이 현재까지 없습니다.
반대로, 전국의 공약 반영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강원도가 현안을 국정과제에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전략이 무엇인지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앵커]
네, 강원도의 기민한 움직임 기대를 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원 정치권 동향도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짚어주시죠.
[기자]
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점점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국회의원들도 대선 후보 지지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송기헌 의원은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한 지지에 무게를 실을 전망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각자도생하는 양상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사무총장은 당 지도부로서 공정한 경선을 치르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아 온 한기호 의원은 경선 과정의 중립을 내세웠습니다.
친 윤석열, 친윤계 인사로 불렸던 이철규, 유상범 의원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유상범 의원은 홍 전 시장대선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습니다.
친한동훈, 친한계 박정하 의원은 계파에 걸맞게 한동훈 전 대표를 지지합니다.
다음 달 초 안에 각 정당 대선 후보가 속속 결정이 됩니다.
이후 중앙무대 선점을 위한 강원도와 정치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한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영상편집:신정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파일7] 대선 40여 일 앞으로…강원 공약은?
-
- 입력 2025-04-16 19:49:56
- 수정2025-04-16 20:23:55

[앵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이제 4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도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이에 맞춰, 강원도와 강원 정치권 등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청초 기자, 대선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강원도는 이 상황,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나요?
[기자]
네, 대선 시계,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속도전입니다.
그만큼 강원도도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강원 대선공약 추진단을 꾸렸습니다.
강원도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강원연구원과 18개 시군, 강원도 실국 등이 모였습니다.
추진단은 급한대로 1차 공약 과제를 내놨습니다.
7대 분야 23개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표류하고 있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을 현안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국제학교 설립 등 1,2차 개정에 담지 못한 40개 특례를 입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농지와 산림, 환경, 군사 등 4대 규제 해소 확대도 목표로 삼았고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대표 공약인 미래첨단산업 7대 분야도 담겼습니다.
기존에 없던 연어, 방위산업, 기후테크 등이 있습니다.
사회기반시설, SOC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용문~홍천 철도, GTX-B, 제천~삼척 고속도로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폐광지역 내국인 면세점 설치, 체류형 관광 시설 확충, 농림수산업 고부가가치화도 내걸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까지 말씀해준 대선 공약 과제를 보니까, 왠지 익숙합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대부분 강원도 민선 8기 공약들이라, 귀에 익으신 것들이 많을 겁니다.
일정이 급하다보니, 기존 정책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점이 오히려 걱정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새로운 게 없다", "일부 정책은 전 정권에서 추진하던 것이라, 추진 동력 떨어질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우려들입니다.
물론, 강원도가 제시한 과제들은 아직 1차입니다.
강원 대선 공약 추진단은 이달 안에 신규 과제 발굴해 2차 과제를 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대선은 탄핵으로 치러지는 속도전입니다.
워낙 선거 기간도 짧고, 정당 세 대결이 치열하다보니, 지역 현안 논의 자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큽니다.
특히, 정당 경선이 급박하게 치러지다보니, 양대 정당의 후보 강원 방문 계획이 현재까지 없습니다.
반대로, 전국의 공약 반영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강원도가 현안을 국정과제에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전략이 무엇인지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앵커]
네, 강원도의 기민한 움직임 기대를 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원 정치권 동향도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짚어주시죠.
[기자]
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점점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국회의원들도 대선 후보 지지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송기헌 의원은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한 지지에 무게를 실을 전망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각자도생하는 양상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사무총장은 당 지도부로서 공정한 경선을 치르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아 온 한기호 의원은 경선 과정의 중립을 내세웠습니다.
친 윤석열, 친윤계 인사로 불렸던 이철규, 유상범 의원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유상범 의원은 홍 전 시장대선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습니다.
친한동훈, 친한계 박정하 의원은 계파에 걸맞게 한동훈 전 대표를 지지합니다.
다음 달 초 안에 각 정당 대선 후보가 속속 결정이 됩니다.
이후 중앙무대 선점을 위한 강원도와 정치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한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영상편집:신정철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이제 4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도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이에 맞춰, 강원도와 강원 정치권 등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청초 기자, 대선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강원도는 이 상황,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나요?
[기자]
네, 대선 시계,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속도전입니다.
그만큼 강원도도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강원 대선공약 추진단을 꾸렸습니다.
강원도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강원연구원과 18개 시군, 강원도 실국 등이 모였습니다.
추진단은 급한대로 1차 공약 과제를 내놨습니다.
7대 분야 23개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표류하고 있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을 현안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국제학교 설립 등 1,2차 개정에 담지 못한 40개 특례를 입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농지와 산림, 환경, 군사 등 4대 규제 해소 확대도 목표로 삼았고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대표 공약인 미래첨단산업 7대 분야도 담겼습니다.
기존에 없던 연어, 방위산업, 기후테크 등이 있습니다.
사회기반시설, SOC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용문~홍천 철도, GTX-B, 제천~삼척 고속도로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폐광지역 내국인 면세점 설치, 체류형 관광 시설 확충, 농림수산업 고부가가치화도 내걸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까지 말씀해준 대선 공약 과제를 보니까, 왠지 익숙합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대부분 강원도 민선 8기 공약들이라, 귀에 익으신 것들이 많을 겁니다.
일정이 급하다보니, 기존 정책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점이 오히려 걱정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새로운 게 없다", "일부 정책은 전 정권에서 추진하던 것이라, 추진 동력 떨어질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우려들입니다.
물론, 강원도가 제시한 과제들은 아직 1차입니다.
강원 대선 공약 추진단은 이달 안에 신규 과제 발굴해 2차 과제를 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대선은 탄핵으로 치러지는 속도전입니다.
워낙 선거 기간도 짧고, 정당 세 대결이 치열하다보니, 지역 현안 논의 자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큽니다.
특히, 정당 경선이 급박하게 치러지다보니, 양대 정당의 후보 강원 방문 계획이 현재까지 없습니다.
반대로, 전국의 공약 반영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강원도가 현안을 국정과제에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전략이 무엇인지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앵커]
네, 강원도의 기민한 움직임 기대를 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원 정치권 동향도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짚어주시죠.
[기자]
네,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점점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국회의원들도 대선 후보 지지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송기헌 의원은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한 지지에 무게를 실을 전망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각자도생하는 양상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사무총장은 당 지도부로서 공정한 경선을 치르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아 온 한기호 의원은 경선 과정의 중립을 내세웠습니다.
친 윤석열, 친윤계 인사로 불렸던 이철규, 유상범 의원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유상범 의원은 홍 전 시장대선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습니다.
친한동훈, 친한계 박정하 의원은 계파에 걸맞게 한동훈 전 대표를 지지합니다.
다음 달 초 안에 각 정당 대선 후보가 속속 결정이 됩니다.
이후 중앙무대 선점을 위한 강원도와 정치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한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영상편집:신정철
-
-
이청초 기자 chocho@kbs.co.kr
이청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6월 3일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