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최후진술 진행 중…이 시각 헌법재판소
입력 2025.02.25 (21:36)
수정 2025.02.25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진술이 시작된 헌법재판소 다시 연결합니다.
김태훈 기자,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 어떤 내용입니까?
[리포트]
네, 윤석열 대통령은 9시 5분부터 최후 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과거의 부정적 기억도 있을 것이라며 거대 야당과 내란 공작세력들이 이런 트라우마를 이용해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 계엄은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미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의 자리에 있었다"면서 "적당히 일하면서 5년을 지내면 퇴임 후 대통령의 예우를 누리면서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도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의 삶만 생각한다면, 정치적 반대 세력의 거센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비상계엄을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호소용 계엄 사실을 군 지휘관들에게 그대로 알릴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을 선포한 당시의 국내 상황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시야에는 서서히 끓는 솥 안의 개구리처럼 눈앞의 현실을 깨닫지 못한 채, 벼랑 끝으로 가고 있는 이 나라의 현실이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보다 앞서 최후 진술을 한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주장했는데요.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진술이 시작된 헌법재판소 다시 연결합니다.
김태훈 기자,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 어떤 내용입니까?
[리포트]
네, 윤석열 대통령은 9시 5분부터 최후 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과거의 부정적 기억도 있을 것이라며 거대 야당과 내란 공작세력들이 이런 트라우마를 이용해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 계엄은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미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의 자리에 있었다"면서 "적당히 일하면서 5년을 지내면 퇴임 후 대통령의 예우를 누리면서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도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의 삶만 생각한다면, 정치적 반대 세력의 거센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비상계엄을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호소용 계엄 사실을 군 지휘관들에게 그대로 알릴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을 선포한 당시의 국내 상황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시야에는 서서히 끓는 솥 안의 개구리처럼 눈앞의 현실을 깨닫지 못한 채, 벼랑 끝으로 가고 있는 이 나라의 현실이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보다 앞서 최후 진술을 한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주장했는데요.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 최후진술 진행 중…이 시각 헌법재판소
-
- 입력 2025-02-25 21:36:45
- 수정2025-02-25 21:49:25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진술이 시작된 헌법재판소 다시 연결합니다.
김태훈 기자,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 어떤 내용입니까?
[리포트]
네, 윤석열 대통령은 9시 5분부터 최후 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과거의 부정적 기억도 있을 것이라며 거대 야당과 내란 공작세력들이 이런 트라우마를 이용해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 계엄은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미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의 자리에 있었다"면서 "적당히 일하면서 5년을 지내면 퇴임 후 대통령의 예우를 누리면서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도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의 삶만 생각한다면, 정치적 반대 세력의 거센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비상계엄을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호소용 계엄 사실을 군 지휘관들에게 그대로 알릴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을 선포한 당시의 국내 상황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시야에는 서서히 끓는 솥 안의 개구리처럼 눈앞의 현실을 깨닫지 못한 채, 벼랑 끝으로 가고 있는 이 나라의 현실이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보다 앞서 최후 진술을 한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주장했는데요.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진술이 시작된 헌법재판소 다시 연결합니다.
김태훈 기자,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 어떤 내용입니까?
[리포트]
네, 윤석열 대통령은 9시 5분부터 최후 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과거의 부정적 기억도 있을 것이라며 거대 야당과 내란 공작세력들이 이런 트라우마를 이용해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 계엄은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미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의 자리에 있었다"면서 "적당히 일하면서 5년을 지내면 퇴임 후 대통령의 예우를 누리면서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도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의 삶만 생각한다면, 정치적 반대 세력의 거센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비상계엄을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호소용 계엄 사실을 군 지휘관들에게 그대로 알릴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을 선포한 당시의 국내 상황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시야에는 서서히 끓는 솥 안의 개구리처럼 눈앞의 현실을 깨닫지 못한 채, 벼랑 끝으로 가고 있는 이 나라의 현실이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보다 앞서 최후 진술을 한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주장했는데요.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
-
김태훈 기자 abc@kbs.co.kr
김태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