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전공의 병역 문제로 확산…“4년 기다리라고?”
입력 2025.02.22 (21:26)
수정 2025.02.22 (21: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년 넘게 계속돼 온 의정 갈등이 사직 전공의들의 병역 문제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사직과 함께 한꺼번에 입영 대상자가 된 전공의들을 국방부가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전공의들이 입대 시기를 결정할 권한을 빼앗긴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 앞에 사직 전공의들이 모였습니다.
군대에 가겠다는 구호를 외칩니다.
["입영권을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앞으로 4년 동안 나눠서 병역 의무를 이행하도록 훈령이 개정될 움직임을 보이자, 병역 미필 전공의들이 거리로 나선 겁니다.
전공의들은 4년 동안 언제 입대하게 될 지 모른 채 대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송하윤/사직 전공의 : "입영 계획도 정부가 자의적으로 정하게 되면 사직 전공의들이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없는 조건에 해당이 돼서."]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입영하게 되는 전공의는 수련 기간을 감안해 33살까지 입영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등의 이유로 수련이 중단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입영을 해야 됩니다.
현재 규정상으론 사직 전공의들은 다음달 입영을 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3천3백여명.
군 당국이 올해 선발하기로 한 군의관과 공보의 규모보다 4배 가까이 많습니다.
국방부는 "입영 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대기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의무사관후보생에게만 특혜를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정부가 병역 특례를 주기로 하고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이에 응한 전공의들은 108명에 불과했습니다.
전공의들은 국방부와 복지부에 대해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정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서수민
1년 넘게 계속돼 온 의정 갈등이 사직 전공의들의 병역 문제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사직과 함께 한꺼번에 입영 대상자가 된 전공의들을 국방부가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전공의들이 입대 시기를 결정할 권한을 빼앗긴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 앞에 사직 전공의들이 모였습니다.
군대에 가겠다는 구호를 외칩니다.
["입영권을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앞으로 4년 동안 나눠서 병역 의무를 이행하도록 훈령이 개정될 움직임을 보이자, 병역 미필 전공의들이 거리로 나선 겁니다.
전공의들은 4년 동안 언제 입대하게 될 지 모른 채 대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송하윤/사직 전공의 : "입영 계획도 정부가 자의적으로 정하게 되면 사직 전공의들이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없는 조건에 해당이 돼서."]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입영하게 되는 전공의는 수련 기간을 감안해 33살까지 입영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등의 이유로 수련이 중단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입영을 해야 됩니다.
현재 규정상으론 사직 전공의들은 다음달 입영을 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3천3백여명.
군 당국이 올해 선발하기로 한 군의관과 공보의 규모보다 4배 가까이 많습니다.
국방부는 "입영 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대기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의무사관후보생에게만 특혜를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정부가 병역 특례를 주기로 하고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이에 응한 전공의들은 108명에 불과했습니다.
전공의들은 국방부와 복지부에 대해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정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정 갈등, 전공의 병역 문제로 확산…“4년 기다리라고?”
-
- 입력 2025-02-22 21:26:52
- 수정2025-02-22 21:35:28

[앵커]
1년 넘게 계속돼 온 의정 갈등이 사직 전공의들의 병역 문제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사직과 함께 한꺼번에 입영 대상자가 된 전공의들을 국방부가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전공의들이 입대 시기를 결정할 권한을 빼앗긴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 앞에 사직 전공의들이 모였습니다.
군대에 가겠다는 구호를 외칩니다.
["입영권을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앞으로 4년 동안 나눠서 병역 의무를 이행하도록 훈령이 개정될 움직임을 보이자, 병역 미필 전공의들이 거리로 나선 겁니다.
전공의들은 4년 동안 언제 입대하게 될 지 모른 채 대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송하윤/사직 전공의 : "입영 계획도 정부가 자의적으로 정하게 되면 사직 전공의들이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없는 조건에 해당이 돼서."]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입영하게 되는 전공의는 수련 기간을 감안해 33살까지 입영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등의 이유로 수련이 중단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입영을 해야 됩니다.
현재 규정상으론 사직 전공의들은 다음달 입영을 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3천3백여명.
군 당국이 올해 선발하기로 한 군의관과 공보의 규모보다 4배 가까이 많습니다.
국방부는 "입영 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대기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의무사관후보생에게만 특혜를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정부가 병역 특례를 주기로 하고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이에 응한 전공의들은 108명에 불과했습니다.
전공의들은 국방부와 복지부에 대해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정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서수민
1년 넘게 계속돼 온 의정 갈등이 사직 전공의들의 병역 문제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사직과 함께 한꺼번에 입영 대상자가 된 전공의들을 국방부가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전공의들이 입대 시기를 결정할 권한을 빼앗긴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 앞에 사직 전공의들이 모였습니다.
군대에 가겠다는 구호를 외칩니다.
["입영권을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보장하라.)"]
앞으로 4년 동안 나눠서 병역 의무를 이행하도록 훈령이 개정될 움직임을 보이자, 병역 미필 전공의들이 거리로 나선 겁니다.
전공의들은 4년 동안 언제 입대하게 될 지 모른 채 대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송하윤/사직 전공의 : "입영 계획도 정부가 자의적으로 정하게 되면 사직 전공의들이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없는 조건에 해당이 돼서."]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입영하게 되는 전공의는 수련 기간을 감안해 33살까지 입영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등의 이유로 수련이 중단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입영을 해야 됩니다.
현재 규정상으론 사직 전공의들은 다음달 입영을 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3천3백여명.
군 당국이 올해 선발하기로 한 군의관과 공보의 규모보다 4배 가까이 많습니다.
국방부는 "입영 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대기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의무사관후보생에게만 특혜를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정부가 병역 특례를 주기로 하고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이에 응한 전공의들은 108명에 불과했습니다.
전공의들은 국방부와 복지부에 대해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정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서수민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