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우크라 분쟁 종식 위해 양보 필요”…EU “러시아 제제 계속 준비”
입력 2025.02.19 (00:43)
수정 2025.02.19 (07: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와 고위급 회담을 한 미국이 현지시간 18일 '양보'를 언급하며 유럽연합(EU) 제재를 지목해 주목됩니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EU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기에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협력 발전의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데 대한 (미국 측의) 강력한 관심(strong interest)이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EU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조 바이든 직전 미 행정부와 함께 러시아 제재를 주도했습니다.
강력한 경제 제재를 통해 러시아의 돈줄을 묶어 전비에 쓰지 못하도록 하자는 계산에서인데 특히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동결자산의 3분의 2 이상이 EU 내에 묶여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이 양보를 언급하며 EU를 지목한 것도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사실상 유럽을 '패싱'한 채 종전 협상을 시작한 터에 이날 미·러 회담 뒤 나온 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까지 나오면서 다시 한번 EU 반발이 예상됩니다.
미·러 고위급 회담이 열린 당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대러시아 제재 이행'이 안건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회의에 앞서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면 EU도 완화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EU 안보와 관련된 사안은 EU가 직접 다뤄야 한다는 점이 명백해 보인다. 제재 정책도 마찬가지"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알다시피 16차 대러 제재안도 계속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답변은 루비오 장관의 '양보' 발언이 보도되기 전입니다.
돔브로우스키스 집행위원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를 겨냥할 수 있는 추가 조처를 준비 중"이라며 "제재는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돼야 하며 여기에는 우회 시도를 단호하게 표적으로 삼는 노력도 포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EU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기에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협력 발전의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데 대한 (미국 측의) 강력한 관심(strong interest)이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EU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조 바이든 직전 미 행정부와 함께 러시아 제재를 주도했습니다.
강력한 경제 제재를 통해 러시아의 돈줄을 묶어 전비에 쓰지 못하도록 하자는 계산에서인데 특히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동결자산의 3분의 2 이상이 EU 내에 묶여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이 양보를 언급하며 EU를 지목한 것도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사실상 유럽을 '패싱'한 채 종전 협상을 시작한 터에 이날 미·러 회담 뒤 나온 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까지 나오면서 다시 한번 EU 반발이 예상됩니다.
미·러 고위급 회담이 열린 당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대러시아 제재 이행'이 안건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회의에 앞서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면 EU도 완화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EU 안보와 관련된 사안은 EU가 직접 다뤄야 한다는 점이 명백해 보인다. 제재 정책도 마찬가지"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알다시피 16차 대러 제재안도 계속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답변은 루비오 장관의 '양보' 발언이 보도되기 전입니다.
돔브로우스키스 집행위원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를 겨냥할 수 있는 추가 조처를 준비 중"이라며 "제재는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돼야 하며 여기에는 우회 시도를 단호하게 표적으로 삼는 노력도 포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우크라 분쟁 종식 위해 양보 필요”…EU “러시아 제제 계속 준비”
-
- 입력 2025-02-19 00:43:03
- 수정2025-02-19 07:09:21

러시아와 고위급 회담을 한 미국이 현지시간 18일 '양보'를 언급하며 유럽연합(EU) 제재를 지목해 주목됩니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EU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기에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협력 발전의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데 대한 (미국 측의) 강력한 관심(strong interest)이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EU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조 바이든 직전 미 행정부와 함께 러시아 제재를 주도했습니다.
강력한 경제 제재를 통해 러시아의 돈줄을 묶어 전비에 쓰지 못하도록 하자는 계산에서인데 특히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동결자산의 3분의 2 이상이 EU 내에 묶여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이 양보를 언급하며 EU를 지목한 것도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사실상 유럽을 '패싱'한 채 종전 협상을 시작한 터에 이날 미·러 회담 뒤 나온 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까지 나오면서 다시 한번 EU 반발이 예상됩니다.
미·러 고위급 회담이 열린 당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대러시아 제재 이행'이 안건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회의에 앞서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면 EU도 완화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EU 안보와 관련된 사안은 EU가 직접 다뤄야 한다는 점이 명백해 보인다. 제재 정책도 마찬가지"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알다시피 16차 대러 제재안도 계속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답변은 루비오 장관의 '양보' 발언이 보도되기 전입니다.
돔브로우스키스 집행위원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를 겨냥할 수 있는 추가 조처를 준비 중"이라며 "제재는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돼야 하며 여기에는 우회 시도를 단호하게 표적으로 삼는 노력도 포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EU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기에 일정 시점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협력 발전의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데 대한 (미국 측의) 강력한 관심(strong interest)이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EU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조 바이든 직전 미 행정부와 함께 러시아 제재를 주도했습니다.
강력한 경제 제재를 통해 러시아의 돈줄을 묶어 전비에 쓰지 못하도록 하자는 계산에서인데 특히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동결자산의 3분의 2 이상이 EU 내에 묶여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이 양보를 언급하며 EU를 지목한 것도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사실상 유럽을 '패싱'한 채 종전 협상을 시작한 터에 이날 미·러 회담 뒤 나온 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까지 나오면서 다시 한번 EU 반발이 예상됩니다.
미·러 고위급 회담이 열린 당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대러시아 제재 이행'이 안건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회의에 앞서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면 EU도 완화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EU 안보와 관련된 사안은 EU가 직접 다뤄야 한다는 점이 명백해 보인다. 제재 정책도 마찬가지"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알다시피 16차 대러 제재안도 계속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답변은 루비오 장관의 '양보' 발언이 보도되기 전입니다.
돔브로우스키스 집행위원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를 겨냥할 수 있는 추가 조처를 준비 중"이라며 "제재는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돼야 하며 여기에는 우회 시도를 단호하게 표적으로 삼는 노력도 포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울지마 키이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