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 비행’ 뒤 산산조각…군, 북 미사일 폭발 장면 공개

입력 2024.06.28 (21:11) 수정 2024.06.29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다탄두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리 군이 감시장비로 촬영한 당시 폭발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은 비정상적인 비행 모습을 보였는데 군은 북한이 왜 이런 시험을 했는지 의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동해상으로 쏜 탄도미사일이 곧게 솟아오르지 못하고 구불거리면서 날아갑니다.

미사일이 올라가는 도중 좌우로 흔들리는 이른바 '롤링 현상'이 관측됩니다.

잠시 후 미사일은 중심을 잃고 빙글빙글 돌다 추진 동력을 잃어버립니다.

이 같은 '텀블링 현상'도 우리 군 전방 부대 열상감시장비에 선명히 담겼습니다.

불이 붙은 발사체는 폭발하면서 여러 개의 파편으로 쪼개져 버렸습니다.

정상적인 다탄두 분리의 경우 3개의 탄두가 떨어져나와 깨끗한 직선 항적을 보여야 한다는 게 군의 설명입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어제 : "다탄두가 분리되는 것은 하강 단계에서 분리가 됩니다. 그런데 말씀드린 대로 비행 초기 단계에 폭발을 했습니다."]

북한은 또 이번 발사에 고체 엔진을 사용했다고 밝혔고, 공개한 사진에서도 화염이 치마 폭처럼 퍼지는 고체 연료 추진체의 특징이 보입니다.

하지만, 정작 사진 속 미사일은 지난해 발사한 화성-17형 액체형 대륙간탄도미사일과 유사합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시험 성공을 꾸며내기 위해 탄두, 발사체, 화염을 각각 합성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이 국방 5대 과제로 개발 중인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했다 실패하자 새로운 다탄두 분리시험이라고 기만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합참은 폭발로 최대 250km까지 날아간 미사일 파편들이 주로 원산 앞바다에 떨어졌지만 일부는 내륙에 떨어져 주민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 당국은 내부 민심 이반에 대한 고민도 있을 것이라고 합참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송화인/영상제공:합동참모본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정상 비행’ 뒤 산산조각…군, 북 미사일 폭발 장면 공개
    • 입력 2024-06-28 21:11:08
    • 수정2024-06-29 07:49:41
    뉴스 9
[앵커]

북한이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다탄두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리 군이 감시장비로 촬영한 당시 폭발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은 비정상적인 비행 모습을 보였는데 군은 북한이 왜 이런 시험을 했는지 의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동해상으로 쏜 탄도미사일이 곧게 솟아오르지 못하고 구불거리면서 날아갑니다.

미사일이 올라가는 도중 좌우로 흔들리는 이른바 '롤링 현상'이 관측됩니다.

잠시 후 미사일은 중심을 잃고 빙글빙글 돌다 추진 동력을 잃어버립니다.

이 같은 '텀블링 현상'도 우리 군 전방 부대 열상감시장비에 선명히 담겼습니다.

불이 붙은 발사체는 폭발하면서 여러 개의 파편으로 쪼개져 버렸습니다.

정상적인 다탄두 분리의 경우 3개의 탄두가 떨어져나와 깨끗한 직선 항적을 보여야 한다는 게 군의 설명입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어제 : "다탄두가 분리되는 것은 하강 단계에서 분리가 됩니다. 그런데 말씀드린 대로 비행 초기 단계에 폭발을 했습니다."]

북한은 또 이번 발사에 고체 엔진을 사용했다고 밝혔고, 공개한 사진에서도 화염이 치마 폭처럼 퍼지는 고체 연료 추진체의 특징이 보입니다.

하지만, 정작 사진 속 미사일은 지난해 발사한 화성-17형 액체형 대륙간탄도미사일과 유사합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시험 성공을 꾸며내기 위해 탄두, 발사체, 화염을 각각 합성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이 국방 5대 과제로 개발 중인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했다 실패하자 새로운 다탄두 분리시험이라고 기만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합참은 폭발로 최대 250km까지 날아간 미사일 파편들이 주로 원산 앞바다에 떨어졌지만 일부는 내륙에 떨어져 주민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 당국은 내부 민심 이반에 대한 고민도 있을 것이라고 합참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송화인/영상제공:합동참모본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