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 15% 지켰다…대미 투자 3,500억 달러
입력 2025.07.31 (21:02)
수정 2025.07.31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미 관세 협상이 지난밤 타결됐습니다.
25%인 상호관세를 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로 낮췄습니다.
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관세 협상 결과를 오늘(31일) 집중 보도합니다.
먼저,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막판 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정부 협상단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와 완전한 합의를 이뤘다는 협상 타결 소식은 SNS를 통해 먼저 전해졌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를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결정됐습니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최혜국 대우를 하겠다고 적시했습니다.
이런 합의를 끌어내는 데는 3,500억 달러, 우리 돈 약 487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이 주효했습니다.
미국이 큰 관심을 보였던 조선업 협력 펀드가 1,500억 달러,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가 2,000억 달러입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펀드 운영에 따른 리스크(위험) 최소화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나온 산출물은 미국 정부가 인수를 책임지기로 하였으며."]
미국이 만족할 만한 대규모 투자를 제시함에 따라 압박이 거셌던 농축산물 추가 개방도 막아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협상 타결 직후 SNS를 통해 "이번 협상으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인하를 위해 향후 4년간 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는데, 직관적인 숫자를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김지훈
한미 관세 협상이 지난밤 타결됐습니다.
25%인 상호관세를 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로 낮췄습니다.
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관세 협상 결과를 오늘(31일) 집중 보도합니다.
먼저,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막판 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정부 협상단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와 완전한 합의를 이뤘다는 협상 타결 소식은 SNS를 통해 먼저 전해졌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를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결정됐습니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최혜국 대우를 하겠다고 적시했습니다.
이런 합의를 끌어내는 데는 3,500억 달러, 우리 돈 약 487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이 주효했습니다.
미국이 큰 관심을 보였던 조선업 협력 펀드가 1,500억 달러,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가 2,000억 달러입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펀드 운영에 따른 리스크(위험) 최소화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나온 산출물은 미국 정부가 인수를 책임지기로 하였으며."]
미국이 만족할 만한 대규모 투자를 제시함에 따라 압박이 거셌던 농축산물 추가 개방도 막아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협상 타결 직후 SNS를 통해 "이번 협상으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인하를 위해 향후 4년간 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는데, 직관적인 숫자를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 15% 지켰다…대미 투자 3,500억 달러
-
- 입력 2025-07-31 21:02:35
- 수정2025-07-31 22:06:43

[앵커]
한미 관세 협상이 지난밤 타결됐습니다.
25%인 상호관세를 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로 낮췄습니다.
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관세 협상 결과를 오늘(31일) 집중 보도합니다.
먼저,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막판 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정부 협상단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와 완전한 합의를 이뤘다는 협상 타결 소식은 SNS를 통해 먼저 전해졌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를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결정됐습니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최혜국 대우를 하겠다고 적시했습니다.
이런 합의를 끌어내는 데는 3,500억 달러, 우리 돈 약 487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이 주효했습니다.
미국이 큰 관심을 보였던 조선업 협력 펀드가 1,500억 달러,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가 2,000억 달러입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펀드 운영에 따른 리스크(위험) 최소화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나온 산출물은 미국 정부가 인수를 책임지기로 하였으며."]
미국이 만족할 만한 대규모 투자를 제시함에 따라 압박이 거셌던 농축산물 추가 개방도 막아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협상 타결 직후 SNS를 통해 "이번 협상으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인하를 위해 향후 4년간 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는데, 직관적인 숫자를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김지훈
한미 관세 협상이 지난밤 타결됐습니다.
25%인 상호관세를 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로 낮췄습니다.
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관세 협상 결과를 오늘(31일) 집중 보도합니다.
먼저,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막판 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정부 협상단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와 완전한 합의를 이뤘다는 협상 타결 소식은 SNS를 통해 먼저 전해졌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를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결정됐습니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최혜국 대우를 하겠다고 적시했습니다.
이런 합의를 끌어내는 데는 3,500억 달러, 우리 돈 약 487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이 주효했습니다.
미국이 큰 관심을 보였던 조선업 협력 펀드가 1,500억 달러,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가 2,000억 달러입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펀드 운영에 따른 리스크(위험) 최소화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나온 산출물은 미국 정부가 인수를 책임지기로 하였으며."]
미국이 만족할 만한 대규모 투자를 제시함에 따라 압박이 거셌던 농축산물 추가 개방도 막아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협상 타결 직후 SNS를 통해 "이번 협상으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인하를 위해 향후 4년간 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는데, 직관적인 숫자를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김지훈
-
-
이희연 기자 hear@kbs.co.kr
이희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