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수자 평균 연봉 봤더니…“고소득자만 구입하는 경향 뚜렷” [잇슈 머니]

입력 2025.07.25 (06:58) 수정 2025.07.25 (07: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두 번째 키워드 '서울 부동산 매수자 평균 연봉은?' 이라고 하셨어요.

최근 서울 집값이 무섭게 올랐고, 이걸 제어하기 위해 정부가 6·27 대책을 내놨는데, 이렇게 비싼 서울아파트 대체 어느 정도 소득이 있는 분들이 구입한 건가요?

[답변]

네, KB부동산 통계를 보면, 서울 집값이 급등한 올해 1분기에, 서울에서 중간 가격 아파트 1채를 구매한 가구의 평균 연 소득은 8천874만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 소득 8천874만 원을 버는 가구가 매수한 아파트 평균 가격은 9억 1천만 원입니다.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 PIR은 10.2로, PIR 10은 집값이 연 소득의 10배라는 뜻입니다.

즉, 연봉 9천만 원에 가까운 가구가 10년 이상 월급을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의 중간 가격 아파트 한 채를 살 수 있었다는 뜻입니다.

[앵커]

연봉 9천만 원이면 상당히 큰 소득인데, 기존에도 서울에서 아파트 장만하려면 이 정도 벌이가 있어야 했나요?

[답변]

그렇지는 않습니다.

최근 4년간 아파트를 구매한 가구의 평균 소득을 보면, 2021년만 해도 서울 아파트 구매 가구 평균 소득은 5천만 원대였습니다.

그러다 2023년에는 6천만 원을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7천만 원에서 8천만 원 초반대 연 소득이 있는 사람들이 서울 아파트를 구매했습니다.

그러다 올해 들어 9천만 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매수자 평균 소득이 늘어난 거지요.

국세청 국세통계를 보면, 사업 소득자를 뺀 2023년 기준 연봉 1억 원을 초과하는 고소득 직장인은 139만 명에 이릅니다.

물가를 반영한 임금이 오르고 있어선데, 바꿔 말하면, 소득이 상당히 높지 않으면 서울에서 아파트 매수는 점점 요원해진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대출 규제 강화 속 시장 양극화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 매수자 평균 연봉 봤더니…“고소득자만 구입하는 경향 뚜렷” [잇슈 머니]
    • 입력 2025-07-25 06:58:35
    • 수정2025-07-25 07:01:51
    뉴스광장 1부
[앵커]

두 번째 키워드 '서울 부동산 매수자 평균 연봉은?' 이라고 하셨어요.

최근 서울 집값이 무섭게 올랐고, 이걸 제어하기 위해 정부가 6·27 대책을 내놨는데, 이렇게 비싼 서울아파트 대체 어느 정도 소득이 있는 분들이 구입한 건가요?

[답변]

네, KB부동산 통계를 보면, 서울 집값이 급등한 올해 1분기에, 서울에서 중간 가격 아파트 1채를 구매한 가구의 평균 연 소득은 8천874만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 소득 8천874만 원을 버는 가구가 매수한 아파트 평균 가격은 9억 1천만 원입니다.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 PIR은 10.2로, PIR 10은 집값이 연 소득의 10배라는 뜻입니다.

즉, 연봉 9천만 원에 가까운 가구가 10년 이상 월급을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의 중간 가격 아파트 한 채를 살 수 있었다는 뜻입니다.

[앵커]

연봉 9천만 원이면 상당히 큰 소득인데, 기존에도 서울에서 아파트 장만하려면 이 정도 벌이가 있어야 했나요?

[답변]

그렇지는 않습니다.

최근 4년간 아파트를 구매한 가구의 평균 소득을 보면, 2021년만 해도 서울 아파트 구매 가구 평균 소득은 5천만 원대였습니다.

그러다 2023년에는 6천만 원을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7천만 원에서 8천만 원 초반대 연 소득이 있는 사람들이 서울 아파트를 구매했습니다.

그러다 올해 들어 9천만 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매수자 평균 소득이 늘어난 거지요.

국세청 국세통계를 보면, 사업 소득자를 뺀 2023년 기준 연봉 1억 원을 초과하는 고소득 직장인은 139만 명에 이릅니다.

물가를 반영한 임금이 오르고 있어선데, 바꿔 말하면, 소득이 상당히 높지 않으면 서울에서 아파트 매수는 점점 요원해진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대출 규제 강화 속 시장 양극화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