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소화기 장애 신설해야”…정부, 장애 인정 수순
입력 2025.04.22 (21:38)
수정 2025.04.23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2월, 1형 당뇨를 앓는 초등학생이 아버지와 함께 세종에서 서울까지 걷는 대장정에 나섰던 소식, 전해드렸었습니다.
1형 당뇨는 췌장이 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해 혈당 조절 능력을 상실하는 난치성 질환입니다.
지금도 4만 8천여 명이 하루에도 몇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생사의 고비를 넘고 있지만, 장애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장애 인정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최근 진행한 연구용역에서 1형 당뇨를 췌장 장애로 인정하는 게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장 일부를 절단한 환자들을 위해 소화기 장애 유형을 신설하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1형 당뇨를 앓고 있는 자녀를 돌보느라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1형 당뇨 환아 보호자 : "사실 아이 혈당을 계속 봐야 되고 24시간 관리를 해줘야 해요."]
1형 당뇨 환자는 수시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해 일상 생활에 제약이 많습니다.
[김미영/한국 1형 당뇨 환우회 대표 : "(저학년은) 인슐린 주사를 스스로 놓을 수 없잖아요. 보조 교사를 지원한다거나 아니면 의료 인력을 지원한다거나 이런 여러 가지 제도가 있는데 저희는 장애가 아니잖아요."]
1형 당뇨를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장애 인정 여부를 검토한 정부 연구용역 보고서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고서에서 1형 당뇨에 대해 "처치가 없으면 생명에 치명적"이라며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 일상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이 환자들에겐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며, 췌장 장애 신설도 제안했습니다.
소화기 장애를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소장 대부분을 잘라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영양 주사에 의존해 살아가는 단장 증후군이 적용 대상입니다.
[이다래/단장 증후군 환자 부모 : "감기만 걸려도 애가 설사를 하고 그리고 혈변을 보고 구토를 하고..."]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장애 인정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당사자의 사회적 제약이라든지 중복 장애가 고려되지 않은..."]
복지부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더 수렴한 뒤 올해 하반기에 장애 인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김지혜
지난 2월, 1형 당뇨를 앓는 초등학생이 아버지와 함께 세종에서 서울까지 걷는 대장정에 나섰던 소식, 전해드렸었습니다.
1형 당뇨는 췌장이 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해 혈당 조절 능력을 상실하는 난치성 질환입니다.
지금도 4만 8천여 명이 하루에도 몇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생사의 고비를 넘고 있지만, 장애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장애 인정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최근 진행한 연구용역에서 1형 당뇨를 췌장 장애로 인정하는 게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장 일부를 절단한 환자들을 위해 소화기 장애 유형을 신설하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1형 당뇨를 앓고 있는 자녀를 돌보느라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1형 당뇨 환아 보호자 : "사실 아이 혈당을 계속 봐야 되고 24시간 관리를 해줘야 해요."]
1형 당뇨 환자는 수시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해 일상 생활에 제약이 많습니다.
[김미영/한국 1형 당뇨 환우회 대표 : "(저학년은) 인슐린 주사를 스스로 놓을 수 없잖아요. 보조 교사를 지원한다거나 아니면 의료 인력을 지원한다거나 이런 여러 가지 제도가 있는데 저희는 장애가 아니잖아요."]
1형 당뇨를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장애 인정 여부를 검토한 정부 연구용역 보고서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고서에서 1형 당뇨에 대해 "처치가 없으면 생명에 치명적"이라며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 일상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이 환자들에겐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며, 췌장 장애 신설도 제안했습니다.
소화기 장애를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소장 대부분을 잘라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영양 주사에 의존해 살아가는 단장 증후군이 적용 대상입니다.
[이다래/단장 증후군 환자 부모 : "감기만 걸려도 애가 설사를 하고 그리고 혈변을 보고 구토를 하고..."]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장애 인정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당사자의 사회적 제약이라든지 중복 장애가 고려되지 않은..."]
복지부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더 수렴한 뒤 올해 하반기에 장애 인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췌장·소화기 장애 신설해야”…정부, 장애 인정 수순
-
- 입력 2025-04-22 21:38:41
- 수정2025-04-23 07:59:58

[앵커]
지난 2월, 1형 당뇨를 앓는 초등학생이 아버지와 함께 세종에서 서울까지 걷는 대장정에 나섰던 소식, 전해드렸었습니다.
1형 당뇨는 췌장이 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해 혈당 조절 능력을 상실하는 난치성 질환입니다.
지금도 4만 8천여 명이 하루에도 몇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생사의 고비를 넘고 있지만, 장애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장애 인정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최근 진행한 연구용역에서 1형 당뇨를 췌장 장애로 인정하는 게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장 일부를 절단한 환자들을 위해 소화기 장애 유형을 신설하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1형 당뇨를 앓고 있는 자녀를 돌보느라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1형 당뇨 환아 보호자 : "사실 아이 혈당을 계속 봐야 되고 24시간 관리를 해줘야 해요."]
1형 당뇨 환자는 수시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해 일상 생활에 제약이 많습니다.
[김미영/한국 1형 당뇨 환우회 대표 : "(저학년은) 인슐린 주사를 스스로 놓을 수 없잖아요. 보조 교사를 지원한다거나 아니면 의료 인력을 지원한다거나 이런 여러 가지 제도가 있는데 저희는 장애가 아니잖아요."]
1형 당뇨를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장애 인정 여부를 검토한 정부 연구용역 보고서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고서에서 1형 당뇨에 대해 "처치가 없으면 생명에 치명적"이라며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 일상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이 환자들에겐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며, 췌장 장애 신설도 제안했습니다.
소화기 장애를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소장 대부분을 잘라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영양 주사에 의존해 살아가는 단장 증후군이 적용 대상입니다.
[이다래/단장 증후군 환자 부모 : "감기만 걸려도 애가 설사를 하고 그리고 혈변을 보고 구토를 하고..."]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장애 인정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당사자의 사회적 제약이라든지 중복 장애가 고려되지 않은..."]
복지부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더 수렴한 뒤 올해 하반기에 장애 인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김지혜
지난 2월, 1형 당뇨를 앓는 초등학생이 아버지와 함께 세종에서 서울까지 걷는 대장정에 나섰던 소식, 전해드렸었습니다.
1형 당뇨는 췌장이 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해 혈당 조절 능력을 상실하는 난치성 질환입니다.
지금도 4만 8천여 명이 하루에도 몇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생사의 고비를 넘고 있지만, 장애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장애 인정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최근 진행한 연구용역에서 1형 당뇨를 췌장 장애로 인정하는 게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보고서는 또 소장 일부를 절단한 환자들을 위해 소화기 장애 유형을 신설하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1형 당뇨를 앓고 있는 자녀를 돌보느라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1형 당뇨 환아 보호자 : "사실 아이 혈당을 계속 봐야 되고 24시간 관리를 해줘야 해요."]
1형 당뇨 환자는 수시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해 일상 생활에 제약이 많습니다.
[김미영/한국 1형 당뇨 환우회 대표 : "(저학년은) 인슐린 주사를 스스로 놓을 수 없잖아요. 보조 교사를 지원한다거나 아니면 의료 인력을 지원한다거나 이런 여러 가지 제도가 있는데 저희는 장애가 아니잖아요."]
1형 당뇨를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장애 인정 여부를 검토한 정부 연구용역 보고서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고서에서 1형 당뇨에 대해 "처치가 없으면 생명에 치명적"이라며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 일상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이 환자들에겐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며, 췌장 장애 신설도 제안했습니다.
소화기 장애를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소장 대부분을 잘라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영양 주사에 의존해 살아가는 단장 증후군이 적용 대상입니다.
[이다래/단장 증후군 환자 부모 : "감기만 걸려도 애가 설사를 하고 그리고 혈변을 보고 구토를 하고..."]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장애 인정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당사자의 사회적 제약이라든지 중복 장애가 고려되지 않은..."]
복지부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더 수렴한 뒤 올해 하반기에 장애 인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김지혜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