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속보영상] 대통령실 “취약계층 가스요금 할인 확대…국민 부담 최소화 노력”
입력 2023.01.26 (09:53) 속보영상
대통령실이 취약계층의 난방비 지원을 위해 에너지 바우처와 가스요금 할인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오늘(2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에너지 바우처는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가구 중 노인·질환자 등 더위·추위 민감계층 117만6천 가구에 대해 올해 겨울 한시적으로 지원 금액을 15만2천원에서 30만4천원으로 두 배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가스공사 배려 대상자 160만 가구에 대한 요금 할인 폭을 올해 겨울에 한해 9천원~3만6천원 할인에서 1만8천원~7만2천원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 수석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국민 부담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난방비게 크게 오른 이유에 대해서는 "지난 몇 년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요금 인상을 억제했고, 2021년 하반기부터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최대 10배 이상 급등한 데 기인한다"면서 "우리 가스요금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이 과정에서 국민들의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오늘(2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에너지 바우처는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가구 중 노인·질환자 등 더위·추위 민감계층 117만6천 가구에 대해 올해 겨울 한시적으로 지원 금액을 15만2천원에서 30만4천원으로 두 배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가스공사 배려 대상자 160만 가구에 대한 요금 할인 폭을 올해 겨울에 한해 9천원~3만6천원 할인에서 1만8천원~7만2천원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 수석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국민 부담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난방비게 크게 오른 이유에 대해서는 "지난 몇 년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요금 인상을 억제했고, 2021년 하반기부터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최대 10배 이상 급등한 데 기인한다"면서 "우리 가스요금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이 과정에서 국민들의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속보영상] 대통령실 “취약계층 가스요금 할인 확대…국민 부담 최소화 노력”
-
- 입력 2023-01-26 09:53:27

대통령실이 취약계층의 난방비 지원을 위해 에너지 바우처와 가스요금 할인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오늘(2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에너지 바우처는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가구 중 노인·질환자 등 더위·추위 민감계층 117만6천 가구에 대해 올해 겨울 한시적으로 지원 금액을 15만2천원에서 30만4천원으로 두 배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가스공사 배려 대상자 160만 가구에 대한 요금 할인 폭을 올해 겨울에 한해 9천원~3만6천원 할인에서 1만8천원~7만2천원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 수석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국민 부담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난방비게 크게 오른 이유에 대해서는 "지난 몇 년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요금 인상을 억제했고, 2021년 하반기부터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최대 10배 이상 급등한 데 기인한다"면서 "우리 가스요금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이 과정에서 국민들의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오늘(2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에너지 바우처는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가구 중 노인·질환자 등 더위·추위 민감계층 117만6천 가구에 대해 올해 겨울 한시적으로 지원 금액을 15만2천원에서 30만4천원으로 두 배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가스공사 배려 대상자 160만 가구에 대한 요금 할인 폭을 올해 겨울에 한해 9천원~3만6천원 할인에서 1만8천원~7만2천원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 수석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국민 부담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난방비게 크게 오른 이유에 대해서는 "지난 몇 년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요금 인상을 억제했고, 2021년 하반기부터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최대 10배 이상 급등한 데 기인한다"면서 "우리 가스요금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는 이 과정에서 국민들의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기자 정보
-
-
조용호 기자 silentcam@kbs.co.kr
조용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