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기지 부지 갖고싶다” 이례적 언급…속내는?

입력 2025.08.26 (21:17) 수정 2025.08.26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 발언 중에 또 한 가지 눈에 띄었던 내용은 주한미군 기지의 땅 소유권을 요구하겠다고 한 말입니다.

이런 민감한 문제를 갑자기 언급한 의도가 뭔지, 윤진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구상에 대해 답변하던 트럼프 대통령, 주한미군 기지의 부지 소유권을 불쑥 꺼내 들었습니다.

"한국은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거"라며,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한국에 땅의 소유권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거대한 군사기지 부지의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한미군 평택기지, 캠프 험프리스는 여의도의 5배 규모.

미군 해외 기지 가운데 가장 큰 규몹니다.

주한미군지위협정, SOFA에 따라, 더 필요 없게 되면 한국에 반환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주한미군은 4만 명이고, 미국이 기지 건설에 많은 돈을 썼다고도 했는데, 실제는 2만 8천여 명, 캠프 험프리스 건설비의 90%는 한국이 부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방한 당시 이곳을 방문해, 이런 내용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수치를 다르게 말한 건 의도적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4만 명을 언급해 중국 견제를 위해 더 많은 병력을 수시 배치하고, 소유권을 언급해 북한의 위협 대비를 넘어 미국 인도 태평양 전략의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속내라는 겁니다.

[민정훈/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 "세계 최고의 최첨단 주둔 미군 시설이기 때문에, 역내에서 중국 견제,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확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거점이 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서 미국이 소유하고 싶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발언의 배경을 더 알아봐야겠다며, 일단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유건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한미군기지 부지 갖고싶다” 이례적 언급…속내는?
    • 입력 2025-08-26 21:17:15
    • 수정2025-08-26 22:26:55
    뉴스 9
[앵커]

트럼프 대통령 발언 중에 또 한 가지 눈에 띄었던 내용은 주한미군 기지의 땅 소유권을 요구하겠다고 한 말입니다.

이런 민감한 문제를 갑자기 언급한 의도가 뭔지, 윤진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구상에 대해 답변하던 트럼프 대통령, 주한미군 기지의 부지 소유권을 불쑥 꺼내 들었습니다.

"한국은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거"라며,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한국에 땅의 소유권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거대한 군사기지 부지의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한미군 평택기지, 캠프 험프리스는 여의도의 5배 규모.

미군 해외 기지 가운데 가장 큰 규몹니다.

주한미군지위협정, SOFA에 따라, 더 필요 없게 되면 한국에 반환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주한미군은 4만 명이고, 미국이 기지 건설에 많은 돈을 썼다고도 했는데, 실제는 2만 8천여 명, 캠프 험프리스 건설비의 90%는 한국이 부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방한 당시 이곳을 방문해, 이런 내용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수치를 다르게 말한 건 의도적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4만 명을 언급해 중국 견제를 위해 더 많은 병력을 수시 배치하고, 소유권을 언급해 북한의 위협 대비를 넘어 미국 인도 태평양 전략의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속내라는 겁니다.

[민정훈/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 "세계 최고의 최첨단 주둔 미군 시설이기 때문에, 역내에서 중국 견제,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확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거점이 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서 미국이 소유하고 싶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발언의 배경을 더 알아봐야겠다며, 일단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유건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