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기업들 한국 떠날 것”…노동계 “숙원 해결”

입력 2025.08.24 (21:07) 수정 2025.08.24 (2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순간을, 민주노총은 본회의장 방청석에서 지켜봤습니다.

극명하게 엇갈린 노동계와 재계의 반응 계속해서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이른바 '노란봉투법' 노조법 2·3조 개정안 핵심은 세 가집니다.

먼저, 사용자 범위 확대.

하청 노동자들이 원청을 상대로 직접 교섭을 요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노동쟁의, 즉 파업 대상은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상의 결정'까지로 넓어집니다.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는 제한했습니다.

노동자 보호를 강화한 겁니다.

막판까지 반대했던 경제계는 강한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국내 기업과 외국 투자 기업들이 한국을 떠날 수 있단 우려입니다.

앞서 한국 GM은 '한국 사업장에 대한 재평가'를 언급한 걸로 전해지면서 또다시 '철수설'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황용연/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정책본부장 : "외국 기업인들이 이러한 불확실성과 형사 처벌에 대해 상당히 부담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노동자 누구나 교섭할 권리를 법에 새겨 넣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양경수/민주노총 위원장 : "원청 얼굴 한번 보겠다고, 교섭 자리 한번 만들겠다고 대화 좀 하자고 절규했던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가 닿은 결과물이라고 생각..."]

고용노동부는 경영계 우려가 과도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노사 의견을 수렴하고, 지침을 마련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겠단 겁니다.

일각에선 노동위원회나 법원 판례가 쌓이기 전까진 현장 혼란이 불가피할 거란 지적도 나옵니다.

노란봉투법은 유예기간을 거쳐 6개월 후 시행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계 “기업들 한국 떠날 것”…노동계 “숙원 해결”
    • 입력 2025-08-24 21:07:57
    • 수정2025-08-24 21:32:56
    뉴스 9
[앵커]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순간을, 민주노총은 본회의장 방청석에서 지켜봤습니다.

극명하게 엇갈린 노동계와 재계의 반응 계속해서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이른바 '노란봉투법' 노조법 2·3조 개정안 핵심은 세 가집니다.

먼저, 사용자 범위 확대.

하청 노동자들이 원청을 상대로 직접 교섭을 요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노동쟁의, 즉 파업 대상은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상의 결정'까지로 넓어집니다.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는 제한했습니다.

노동자 보호를 강화한 겁니다.

막판까지 반대했던 경제계는 강한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국내 기업과 외국 투자 기업들이 한국을 떠날 수 있단 우려입니다.

앞서 한국 GM은 '한국 사업장에 대한 재평가'를 언급한 걸로 전해지면서 또다시 '철수설'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황용연/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정책본부장 : "외국 기업인들이 이러한 불확실성과 형사 처벌에 대해 상당히 부담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노동자 누구나 교섭할 권리를 법에 새겨 넣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양경수/민주노총 위원장 : "원청 얼굴 한번 보겠다고, 교섭 자리 한번 만들겠다고 대화 좀 하자고 절규했던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가 닿은 결과물이라고 생각..."]

고용노동부는 경영계 우려가 과도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노사 의견을 수렴하고, 지침을 마련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겠단 겁니다.

일각에선 노동위원회나 법원 판례가 쌓이기 전까진 현장 혼란이 불가피할 거란 지적도 나옵니다.

노란봉투법은 유예기간을 거쳐 6개월 후 시행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