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십니까] 50~60대·남성·단순노무자, 폭염에 가장 취약

입력 2025.08.11 (06:35) 수정 2025.08.11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례 없는 폭염에 힘들지 않은 사람이 없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계층이 누구일까요?

통계 분석 결과 50~60대, 남성, 실외 단순노무자가 폭염 온열질환에 가장 취약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유광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폭염경보가 내려진 날, 공사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무거운 자재를 나르고…

강도 높은 노동을 반복하는 작업자들에겐 더욱 고역입니다.

[김일두/55세 : "특히 이런 시멘트 바닥 위에서 열기가 올라오잖아요. 땀도 많이 난 상태에서 뜨거운 열기가 올라오니까 숨쉬기 힘들 때도 있고요."]

119구급대가 야외에서 쓰러진 70대 남성을 급히 응급실로 이송합니다.

환자 체온은 39.9도에 의식이 혼미하고 경련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양혁준/가천대길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 : "체온 조절이 안 되면서 한 40도까지 올라가는 열사병인 경우에는 거의 의식이 없고요. 혼수 상태에서 경련을 일으키고 맥박도 빨라지고 피부 색깔도 붉게 변하면서…"]

지난해 전국의 병원 응급실 500여 곳을 찾은 폭염 온열질환자 수는 3천 7백여 명, 남성이 2천 9백여 명으로 여성의 3.7배였습니다.

지난 14년간 계속해서 남성 환자 수가 여성보다 많았는데, 폭염일수가 많은 해일수록 전체 온열질환자도 증가했습니다.

장소별로는 남성은 실외작업장, 논밭, 실내작업장 순으로 많았고, 여성은 논밭, 길가, 집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함승헌/가천대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실외 작업을 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는 직사광선을 맞는다든지 또 그늘이 부족하다든지 또 물을 주기적으로 마실 수 있는 환경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금 더 취약하다고 볼 수가 있겠고요."]

연령별로는 50대가 19.3%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8.3%로 그다음이었습니다.

은퇴나 조기 퇴직 연령대가 온열질환의 취약 집단으로 떠오른 건데, 경제 상황과도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은 직업군은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단순노무종사자.

단순노무직 온열질환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가 50대로 25.6%였고, 60대도 18.5%나 됐습니다.

[조동근/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 "(은퇴 이후) 소득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없잖아요. 공적 연금에서 그거를 뒷바라지하는 것도 제한되니까 자기가 벌어야 돼요. 경력 단절이 되셨겠고 사실 그분들은 단순한 반복 노동을 하시는 데 특화돼 있어요."]

50~60대, 남성, 실외 단순노무종사자.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강하십니까] 50~60대·남성·단순노무자, 폭염에 가장 취약
    • 입력 2025-08-11 06:35:28
    • 수정2025-08-11 07:57:19
    뉴스광장 1부
[앵커]

전례 없는 폭염에 힘들지 않은 사람이 없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계층이 누구일까요?

통계 분석 결과 50~60대, 남성, 실외 단순노무자가 폭염 온열질환에 가장 취약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유광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폭염경보가 내려진 날, 공사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무거운 자재를 나르고…

강도 높은 노동을 반복하는 작업자들에겐 더욱 고역입니다.

[김일두/55세 : "특히 이런 시멘트 바닥 위에서 열기가 올라오잖아요. 땀도 많이 난 상태에서 뜨거운 열기가 올라오니까 숨쉬기 힘들 때도 있고요."]

119구급대가 야외에서 쓰러진 70대 남성을 급히 응급실로 이송합니다.

환자 체온은 39.9도에 의식이 혼미하고 경련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양혁준/가천대길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 : "체온 조절이 안 되면서 한 40도까지 올라가는 열사병인 경우에는 거의 의식이 없고요. 혼수 상태에서 경련을 일으키고 맥박도 빨라지고 피부 색깔도 붉게 변하면서…"]

지난해 전국의 병원 응급실 500여 곳을 찾은 폭염 온열질환자 수는 3천 7백여 명, 남성이 2천 9백여 명으로 여성의 3.7배였습니다.

지난 14년간 계속해서 남성 환자 수가 여성보다 많았는데, 폭염일수가 많은 해일수록 전체 온열질환자도 증가했습니다.

장소별로는 남성은 실외작업장, 논밭, 실내작업장 순으로 많았고, 여성은 논밭, 길가, 집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함승헌/가천대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실외 작업을 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는 직사광선을 맞는다든지 또 그늘이 부족하다든지 또 물을 주기적으로 마실 수 있는 환경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금 더 취약하다고 볼 수가 있겠고요."]

연령별로는 50대가 19.3%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8.3%로 그다음이었습니다.

은퇴나 조기 퇴직 연령대가 온열질환의 취약 집단으로 떠오른 건데, 경제 상황과도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은 직업군은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단순노무종사자.

단순노무직 온열질환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가 50대로 25.6%였고, 60대도 18.5%나 됐습니다.

[조동근/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 "(은퇴 이후) 소득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없잖아요. 공적 연금에서 그거를 뒷바라지하는 것도 제한되니까 자기가 벌어야 돼요. 경력 단절이 되셨겠고 사실 그분들은 단순한 반복 노동을 하시는 데 특화돼 있어요."]

50~60대, 남성, 실외 단순노무종사자.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