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가’ 조선 협력 카드 통했다

입력 2025.07.31 (21:12) 수정 2025.07.31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관세 협상을 타결로 이끈 열쇠는 우리가 제안한 조선업 협력,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였습니다.

한미 양국이 가장 크게, 서로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힙니다.

이도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타결의 핵심으로 정부는 '마스가 프로젝트', 한미 조선업 협력 계획을 꼽았습니다.

사실상 붕괴된 미국 조선업 재건을 돕겠다는 건 일본도, 유럽연합도 엄두를 못 낸 우리만의 '새로운' 제안이었다는 겁니다.

[구윤철/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의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이 제안한 조선업 투자 펀드 규모는 1,500억 달러.

미국 내 조선소 건설과 인력 양성, 공급망 구축, 선박 건조, 유지 보수, 기술 이전까지 지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을 높이 평가하며, 최대한 빨리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이뤄지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내 기업들에게도 나쁠 것 없는 '윈-윈'이란 평갑니다.

[이은창/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미국에서 배를 만드는 게 훨씬 비쌀 거고, 그 배는 미국 시장을 위한 거지 세계 경쟁을 위한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이 열리는 거고요."]

관건은 투자 방식입니다.

워낙 거액이라 기업 부담이 큰데, 한화가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도 1분기에 19억 원의 손실을 냈습니다.

정부는 대출, 보증 등 공적 금융 지원으로 기업 투자를 뒷받침할 예정인데, 보증이 클수록 기업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은창/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미국에서 조선소를 인수하거나 투자한다고 해서 흑자가 나지는 않을 거잖아요. 단기적으로 대규모 대출을 일으켜서 (투자)해라라고 했을 땐 기업에 부담이 (됩니다)."]

한편, 정부는 미국이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반도체와 의약품에서도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은 최혜국 대우를 약속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스가’ 조선 협력 카드 통했다
    • 입력 2025-07-31 21:12:17
    • 수정2025-07-31 22:07:00
    뉴스 9
[앵커]

이번 관세 협상을 타결로 이끈 열쇠는 우리가 제안한 조선업 협력,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였습니다.

한미 양국이 가장 크게, 서로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힙니다.

이도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타결의 핵심으로 정부는 '마스가 프로젝트', 한미 조선업 협력 계획을 꼽았습니다.

사실상 붕괴된 미국 조선업 재건을 돕겠다는 건 일본도, 유럽연합도 엄두를 못 낸 우리만의 '새로운' 제안이었다는 겁니다.

[구윤철/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의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이 제안한 조선업 투자 펀드 규모는 1,500억 달러.

미국 내 조선소 건설과 인력 양성, 공급망 구축, 선박 건조, 유지 보수, 기술 이전까지 지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을 높이 평가하며, 최대한 빨리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이뤄지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내 기업들에게도 나쁠 것 없는 '윈-윈'이란 평갑니다.

[이은창/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미국에서 배를 만드는 게 훨씬 비쌀 거고, 그 배는 미국 시장을 위한 거지 세계 경쟁을 위한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이 열리는 거고요."]

관건은 투자 방식입니다.

워낙 거액이라 기업 부담이 큰데, 한화가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도 1분기에 19억 원의 손실을 냈습니다.

정부는 대출, 보증 등 공적 금융 지원으로 기업 투자를 뒷받침할 예정인데, 보증이 클수록 기업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은창/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미국에서 조선소를 인수하거나 투자한다고 해서 흑자가 나지는 않을 거잖아요. 단기적으로 대규모 대출을 일으켜서 (투자)해라라고 했을 땐 기업에 부담이 (됩니다)."]

한편, 정부는 미국이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반도체와 의약품에서도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은 최혜국 대우를 약속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