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돼지고기·계란 오름세…안 잡히는 식품물가
입력 2025.05.12 (19:17)
수정 2025.05.12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겨울부터 계속 고공행진이던 무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이 제자리를 찾는가 했더니 이번에는 계란과 돼지고깃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도 수입량을 늘려 물가를 잡기로 했습니다.
치솟는 식품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최지현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코너.
사람들의 손이 가는 건 국내산보다 수입 고기입니다.
훌쩍 오른 가격 때문입니다.
[이보슬/서울 영등포구 : "국내산 많이 먹었는데 수입산도 이제 맛있다 이런 생각으로 요새 구매하고 있어요. 아기들이 둘이나 있어서."]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2천4백 원대로 최근 3년 평균치보다 7% 넘게 올랐습니다.
이달에는 2천 6백 원대까지 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싼 부위인 앞다릿살은 더 크게 올랐습니다.
최근 3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계란 가격도 훌쩍 뛰었습니다.
지난 3월 3천2백 원대였던 특란 10개 가격이 지난달 3천6백 원대로 올랐습니다.
[베이커리 업체 관계자 : "저희처럼 많이 사용되는 데는 (재룟값이) 한 달에 몇십만 원 (차이가) 날 수도 있고 그게 1년으로 쌓이면은 몇백만 원까지도 갈 수도 있는 거라서."]
식품 물가가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상황.
정부는 지난겨울부터 높은 가격을 보였던 무 배추 등 채소류에 이어 이번에는 계란 가공품과 돼지고기 등의 할당관세를 낮춰 수입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홍인기/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 "식품 원료 할당관세 품목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연초 13개 품목에서 현재는 21개 품목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해 과일 생산은 산불영향이 제한적이고 봄철 저온피해가 적어 평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최지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한효정
지난겨울부터 계속 고공행진이던 무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이 제자리를 찾는가 했더니 이번에는 계란과 돼지고깃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도 수입량을 늘려 물가를 잡기로 했습니다.
치솟는 식품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최지현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코너.
사람들의 손이 가는 건 국내산보다 수입 고기입니다.
훌쩍 오른 가격 때문입니다.
[이보슬/서울 영등포구 : "국내산 많이 먹었는데 수입산도 이제 맛있다 이런 생각으로 요새 구매하고 있어요. 아기들이 둘이나 있어서."]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2천4백 원대로 최근 3년 평균치보다 7% 넘게 올랐습니다.
이달에는 2천 6백 원대까지 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싼 부위인 앞다릿살은 더 크게 올랐습니다.
최근 3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계란 가격도 훌쩍 뛰었습니다.
지난 3월 3천2백 원대였던 특란 10개 가격이 지난달 3천6백 원대로 올랐습니다.
[베이커리 업체 관계자 : "저희처럼 많이 사용되는 데는 (재룟값이) 한 달에 몇십만 원 (차이가) 날 수도 있고 그게 1년으로 쌓이면은 몇백만 원까지도 갈 수도 있는 거라서."]
식품 물가가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상황.
정부는 지난겨울부터 높은 가격을 보였던 무 배추 등 채소류에 이어 이번에는 계란 가공품과 돼지고기 등의 할당관세를 낮춰 수입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홍인기/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 "식품 원료 할당관세 품목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연초 13개 품목에서 현재는 21개 품목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해 과일 생산은 산불영향이 제한적이고 봄철 저온피해가 적어 평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최지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한효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번엔 돼지고기·계란 오름세…안 잡히는 식품물가
-
- 입력 2025-05-12 19:17:48
- 수정2025-05-12 19:44:30

[앵커]
지난겨울부터 계속 고공행진이던 무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이 제자리를 찾는가 했더니 이번에는 계란과 돼지고깃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도 수입량을 늘려 물가를 잡기로 했습니다.
치솟는 식품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최지현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코너.
사람들의 손이 가는 건 국내산보다 수입 고기입니다.
훌쩍 오른 가격 때문입니다.
[이보슬/서울 영등포구 : "국내산 많이 먹었는데 수입산도 이제 맛있다 이런 생각으로 요새 구매하고 있어요. 아기들이 둘이나 있어서."]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2천4백 원대로 최근 3년 평균치보다 7% 넘게 올랐습니다.
이달에는 2천 6백 원대까지 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싼 부위인 앞다릿살은 더 크게 올랐습니다.
최근 3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계란 가격도 훌쩍 뛰었습니다.
지난 3월 3천2백 원대였던 특란 10개 가격이 지난달 3천6백 원대로 올랐습니다.
[베이커리 업체 관계자 : "저희처럼 많이 사용되는 데는 (재룟값이) 한 달에 몇십만 원 (차이가) 날 수도 있고 그게 1년으로 쌓이면은 몇백만 원까지도 갈 수도 있는 거라서."]
식품 물가가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상황.
정부는 지난겨울부터 높은 가격을 보였던 무 배추 등 채소류에 이어 이번에는 계란 가공품과 돼지고기 등의 할당관세를 낮춰 수입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홍인기/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 "식품 원료 할당관세 품목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연초 13개 품목에서 현재는 21개 품목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해 과일 생산은 산불영향이 제한적이고 봄철 저온피해가 적어 평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최지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한효정
지난겨울부터 계속 고공행진이던 무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이 제자리를 찾는가 했더니 이번에는 계란과 돼지고깃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도 수입량을 늘려 물가를 잡기로 했습니다.
치솟는 식품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최지현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코너.
사람들의 손이 가는 건 국내산보다 수입 고기입니다.
훌쩍 오른 가격 때문입니다.
[이보슬/서울 영등포구 : "국내산 많이 먹었는데 수입산도 이제 맛있다 이런 생각으로 요새 구매하고 있어요. 아기들이 둘이나 있어서."]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2천4백 원대로 최근 3년 평균치보다 7% 넘게 올랐습니다.
이달에는 2천 6백 원대까지 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싼 부위인 앞다릿살은 더 크게 올랐습니다.
최근 3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계란 가격도 훌쩍 뛰었습니다.
지난 3월 3천2백 원대였던 특란 10개 가격이 지난달 3천6백 원대로 올랐습니다.
[베이커리 업체 관계자 : "저희처럼 많이 사용되는 데는 (재룟값이) 한 달에 몇십만 원 (차이가) 날 수도 있고 그게 1년으로 쌓이면은 몇백만 원까지도 갈 수도 있는 거라서."]
식품 물가가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상황.
정부는 지난겨울부터 높은 가격을 보였던 무 배추 등 채소류에 이어 이번에는 계란 가공품과 돼지고기 등의 할당관세를 낮춰 수입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홍인기/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 "식품 원료 할당관세 품목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연초 13개 품목에서 현재는 21개 품목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해 과일 생산은 산불영향이 제한적이고 봄철 저온피해가 적어 평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최지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한효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