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영광 어디에” 무너져 내리는 ‘지역 최대 상권들’

입력 2025.05.05 (19:15) 수정 2025.05.05 (19: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 소멸 위기 속에 한때 영화를 누렸던 지역의 중심 상권들이 빠르게 쇠퇴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백화점과 프랜차이즈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며 빈 가게들이 늘고 있고 도심은 텅 비어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외버스터미널이 자리한 옛 마산의 교통 요지, 경남 창원시 합성동.

2, 30대 청년들로 북적이며 한때 전국에서 손꼽히던 번화가였지만 지금은 오가는 사람 없이 썰렁하기만 합니다.

유명 햄버거 체인과 커피전문점은 이미 자취를 감췄습니다.

[최용철/경남 창원시 합성동 상인 : "활기가 너무 떨어진 것 같고, 예전보다 많이 안 좋은 것 같습니다."]

대형 백화점도 매출 감소에, 운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개점 27년 만인 지난해 문을 닫았습니다.

인구 감소가 소비 부진으로 이어져 전통시장을 비롯한 일대 상권은 침체의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황정식/경남 창원시 오동동 상인 : "손님보다 상인들이 더 많으니까…. 그런 부분이 첫째로 몸으로 느끼는 거고요."]

경남 김해의 최대 상권이었던 인제대학교 앞.

반경 200미터 안에 임대 표시가 나붙은 점포는 50곳이 넘습니다.

[안성주/경남 김해시 어방동 상인 : "여기가 어방동의 중심 상권이거든요. 일단 장사가 안 되니까 (가게)세 내는 게 좀 많이 힘들겠죠."]

이 일대 빵과 도넛 가게, 그리고 독서실과 스터디카페의 월 평균 매출은 1년 새 각각 40% 넘게 감소했습니다.

대학 신입생이 갈수록 줄면서 젊은층을 겨냥한 주변 상권이 급속히 붕괴하고 있는 겁니다.

[김철웅/경남 김해시 공인중개사 : "지금은 (대학가 원룸) 공실률이 예전보다 10에서 20% 정도 더 나옵니다."]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여기에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과거 영화를 누렸던 지역 상권들도 쇠락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최현진 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옛 영광 어디에” 무너져 내리는 ‘지역 최대 상권들’
    • 입력 2025-05-05 19:15:03
    • 수정2025-05-05 19:24:35
    뉴스 7
[앵커]

지역 소멸 위기 속에 한때 영화를 누렸던 지역의 중심 상권들이 빠르게 쇠퇴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백화점과 프랜차이즈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며 빈 가게들이 늘고 있고 도심은 텅 비어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외버스터미널이 자리한 옛 마산의 교통 요지, 경남 창원시 합성동.

2, 30대 청년들로 북적이며 한때 전국에서 손꼽히던 번화가였지만 지금은 오가는 사람 없이 썰렁하기만 합니다.

유명 햄버거 체인과 커피전문점은 이미 자취를 감췄습니다.

[최용철/경남 창원시 합성동 상인 : "활기가 너무 떨어진 것 같고, 예전보다 많이 안 좋은 것 같습니다."]

대형 백화점도 매출 감소에, 운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개점 27년 만인 지난해 문을 닫았습니다.

인구 감소가 소비 부진으로 이어져 전통시장을 비롯한 일대 상권은 침체의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황정식/경남 창원시 오동동 상인 : "손님보다 상인들이 더 많으니까…. 그런 부분이 첫째로 몸으로 느끼는 거고요."]

경남 김해의 최대 상권이었던 인제대학교 앞.

반경 200미터 안에 임대 표시가 나붙은 점포는 50곳이 넘습니다.

[안성주/경남 김해시 어방동 상인 : "여기가 어방동의 중심 상권이거든요. 일단 장사가 안 되니까 (가게)세 내는 게 좀 많이 힘들겠죠."]

이 일대 빵과 도넛 가게, 그리고 독서실과 스터디카페의 월 평균 매출은 1년 새 각각 40% 넘게 감소했습니다.

대학 신입생이 갈수록 줄면서 젊은층을 겨냥한 주변 상권이 급속히 붕괴하고 있는 겁니다.

[김철웅/경남 김해시 공인중개사 : "지금은 (대학가 원룸) 공실률이 예전보다 10에서 20% 정도 더 나옵니다."]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여기에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과거 영화를 누렸던 지역 상권들도 쇠락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최현진 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