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출길 막힌 ‘쉬인촌’…공장도, 물류도 멈췄다

입력 2025.05.03 (06:28) 수정 2025.05.03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어제(2일)부터 중국발 소액 소포에도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몸집을 키워온 쉬인, 테무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를 겨냥한 조치입니다.

미국에 옷을 수출하던 중국의 공장들도 타격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특파원이 현지 상황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광저우 탕부둥촌.

차 한 대가 겨우 오갈 만한 좁은 거리를 중심으로 의류 공장이 빼곡합니다.

반경 3km에 크고 작은 공장만 천여 곳으로, '쉬인'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를 통해 생산하는 옷 대부분을 수출합니다.

한 공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겨우 공장은 돌아가지만, 관세 전쟁 직후, 갑자기 주문이 끊어졌던 여파가 그대로 남았습니다.

지난달 미국으로 수출됐어야 하는 상품이지만, 주문이 취소되면서 지금은 이렇게 공장 한쪽에 쌓여있습니다.

[원즈팡/○○ 의류 업체 대표 :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여기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회사, 또 중국 물건을 수입하는 미국 회사 같은 중소기업들이 희생양이 될 겁니다."]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공장은 아예 생산라인 절반을 멈춰 세웠습니다.

만든 옷의 40% 정도를 미국에 수출해 왔는데, 가로막힌 미국행 대신 당장, 다른 판매처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의류업체 대표 : "미국 스타일하고 또 중국 스타일하고 또 다른 거고 또 미국에서 팔던 거를 중국에서 팔려면 그거는 좀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마지막 물량 밀어내기마저 끝난 지금, 시끌벅적했던 수출 도시 광저우는 조금씩 활기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예차오펑/톈웨 국제 화물 유한공사 : "관세전쟁이 장기화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물류업계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장기전에 대비하며, 문제없다는 게 공식 입장이지만, 수출의 최전선에 있던 제조업 밀집 지역 타격은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수출길 막힌 ‘쉬인촌’…공장도, 물류도 멈췄다
    • 입력 2025-05-03 06:28:14
    • 수정2025-05-03 08:14:12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이 어제(2일)부터 중국발 소액 소포에도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몸집을 키워온 쉬인, 테무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를 겨냥한 조치입니다.

미국에 옷을 수출하던 중국의 공장들도 타격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김민정 특파원이 현지 상황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광저우 탕부둥촌.

차 한 대가 겨우 오갈 만한 좁은 거리를 중심으로 의류 공장이 빼곡합니다.

반경 3km에 크고 작은 공장만 천여 곳으로, '쉬인'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를 통해 생산하는 옷 대부분을 수출합니다.

한 공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겨우 공장은 돌아가지만, 관세 전쟁 직후, 갑자기 주문이 끊어졌던 여파가 그대로 남았습니다.

지난달 미국으로 수출됐어야 하는 상품이지만, 주문이 취소되면서 지금은 이렇게 공장 한쪽에 쌓여있습니다.

[원즈팡/○○ 의류 업체 대표 :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여기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회사, 또 중국 물건을 수입하는 미국 회사 같은 중소기업들이 희생양이 될 겁니다."]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공장은 아예 생산라인 절반을 멈춰 세웠습니다.

만든 옷의 40% 정도를 미국에 수출해 왔는데, 가로막힌 미국행 대신 당장, 다른 판매처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의류업체 대표 : "미국 스타일하고 또 중국 스타일하고 또 다른 거고 또 미국에서 팔던 거를 중국에서 팔려면 그거는 좀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마지막 물량 밀어내기마저 끝난 지금, 시끌벅적했던 수출 도시 광저우는 조금씩 활기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예차오펑/톈웨 국제 화물 유한공사 : "관세전쟁이 장기화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물류업계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장기전에 대비하며, 문제없다는 게 공식 입장이지만, 수출의 최전선에 있던 제조업 밀집 지역 타격은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