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출길 막힌 ‘쉬인촌’…공장도, 물류도 멈췄다

입력 2025.05.02 (21:29) 수정 2025.05.03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오늘 중국에서 부친 소액 소포에도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싼값을 무기로 성장해 온 쉬인이나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를 겨냥한 조처입니다.

중국의 옷 공장들에도 이 파장이 덮쳤습니다.

실태를 김민정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광저우 탕부둥촌.

차 한 대가 겨우 오갈 만한 좁은 거리를 중심으로 의류 공장이 빼곡합니다.

반경 3km에 크고 작은 공장만 천여 곳으로, '쉬인'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를 통해 생산하는 옷 대부분을 수출합니다.

한 공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겨우 공장은 돌아가지만, 관세 전쟁 직후, 갑자기 주문이 끊어졌던 여파가 그대로 남았습니다.

지난달 미국으로 수출됐어야 하는 상품이지만, 주문이 취소되면서 지금은 이렇게 공장 한쪽에 쌓여있습니다.

[원즈팡/○○ 의류 업체 대표 :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여기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회사, 또 중국 물건을 수입하는 미국 회사 같은 중소기업들이 희생양이 될 겁니다."]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공장은 아예 생산라인 절반을 멈춰 세웠습니다.

만든 옷의 40% 정도를 미국에 수출해 왔는데, 가로막힌 미국행 대신 당장, 다른 판매처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의류업체 대표 : "미국 스타일하고 또 중국 스타일하고 또 다른 거고 또 미국에서 팔던 거를 중국에서 팔려면 그거는 좀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마지막 물량 밀어내기마저 끝난 지금, 시끌벅적했던 수출 도시 광저우는 조금씩 활기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예차오펑/톈웨 국제 화물 유한공사 : "관세전쟁이 장기화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물류업계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장기전에 대비하며, 문제없다는 게 공식 입장이지만, 수출의 최전선에 있던 제조업 밀집 지역 타격은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수출길 막힌 ‘쉬인촌’…공장도, 물류도 멈췄다
    • 입력 2025-05-02 21:29:39
    • 수정2025-05-03 08:14:40
    뉴스 9
[앵커]

미국이 오늘 중국에서 부친 소액 소포에도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싼값을 무기로 성장해 온 쉬인이나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를 겨냥한 조처입니다.

중국의 옷 공장들에도 이 파장이 덮쳤습니다.

실태를 김민정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광저우 탕부둥촌.

차 한 대가 겨우 오갈 만한 좁은 거리를 중심으로 의류 공장이 빼곡합니다.

반경 3km에 크고 작은 공장만 천여 곳으로, '쉬인'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를 통해 생산하는 옷 대부분을 수출합니다.

한 공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겨우 공장은 돌아가지만, 관세 전쟁 직후, 갑자기 주문이 끊어졌던 여파가 그대로 남았습니다.

지난달 미국으로 수출됐어야 하는 상품이지만, 주문이 취소되면서 지금은 이렇게 공장 한쪽에 쌓여있습니다.

[원즈팡/○○ 의류 업체 대표 :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여기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회사, 또 중국 물건을 수입하는 미국 회사 같은 중소기업들이 희생양이 될 겁니다."]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공장은 아예 생산라인 절반을 멈춰 세웠습니다.

만든 옷의 40% 정도를 미국에 수출해 왔는데, 가로막힌 미국행 대신 당장, 다른 판매처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의류업체 대표 : "미국 스타일하고 또 중국 스타일하고 또 다른 거고 또 미국에서 팔던 거를 중국에서 팔려면 그거는 좀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마지막 물량 밀어내기마저 끝난 지금, 시끌벅적했던 수출 도시 광저우는 조금씩 활기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예차오펑/톈웨 국제 화물 유한공사 : "관세전쟁이 장기화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물류업계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장기전에 대비하며, 문제없다는 게 공식 입장이지만, 수출의 최전선에 있던 제조업 밀집 지역 타격은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