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업계 “부품 관세로 가격 인상·판매감소 우려”
입력 2025.04.23 (06:38)
수정 2025.04.23 (07: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부품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취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현지시각 22일자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소비자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판매는 감소하며,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인상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면제를 시사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현지시각 22일자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소비자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판매는 감소하며,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인상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면제를 시사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자동차업계 “부품 관세로 가격 인상·판매감소 우려”
-
- 입력 2025-04-23 06:38:51
- 수정2025-04-23 07:04:50

미국의 자동차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부품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취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현지시각 22일자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소비자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판매는 감소하며,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인상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면제를 시사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현지시각 22일자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소비자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판매는 감소하며,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인상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면제를 시사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