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AO, 북한의 ‘평양 무인기 침투사건’ 조사 요청 기각

입력 2025.04.17 (21:41) 수정 2025.04.17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한이 평양에 무인기를 침투시켰다며 북한이 UN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에 진상조사를 요청했었는데요.

이 요청이 기각됐습니다.

그간 수없이 국제규범을 어겼던 북한의 목소리엔 힘이 없었습니다.

보도에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북한은 남한이 무인기를 보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며, 무인기의 사진과 항적을 공개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자, 북한은 지난 2월,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에 진상 조사를 요청했습니다.

남북한 모두 회원국인 ICAO 협약에는 "조약을 맺은 체약국 허가 없이 무인기가 체약국 상공을 비행해선 안 된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를 위반했는지 살펴달라는 취지였습니다.

이에 지난 1일, 36개국으로 구성된 ICAO 이사회는 비공개회의를 열어 북한의 요청에 대해 논의했고, 이 건과 관련한 어떠한 조치도 필요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북한의 주장에 명확한 근거가 없다고 보고 받아들이지 않은 겁니다.

또 북한이 그동안 국제 규범을 위반하고 민간 항공 안전을 위협한 사례가 많았다는 점이 기각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친 거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 ICAO는 북한의 'GPS 교란 행위'에 대해 우려와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신희석/전환기정의워킹그룹 법률분석관 : "한국 정부 측에서도 과거 북한의 그런 민간 항공 위협 사례들을 언급하면서 오히려 북한이 더 큰 위협이 되어 왔다는 점을 부각시킨 거로 보입니다."]

기각 결정에 따라 이 안건은 더 이상 ICAO에서 논의될 수 없습니다.

지난 2022년 12월 북한이 우리 영공에 무인기를 침투시켰을 때, 정부는 국제법적·외교적 측면 등을 고려해 진상조사는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서윤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CAO, 북한의 ‘평양 무인기 침투사건’ 조사 요청 기각
    • 입력 2025-04-17 21:41:31
    • 수정2025-04-17 21:52:40
    뉴스 9
[앵커]

남한이 평양에 무인기를 침투시켰다며 북한이 UN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에 진상조사를 요청했었는데요.

이 요청이 기각됐습니다.

그간 수없이 국제규범을 어겼던 북한의 목소리엔 힘이 없었습니다.

보도에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북한은 남한이 무인기를 보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며, 무인기의 사진과 항적을 공개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자, 북한은 지난 2월,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에 진상 조사를 요청했습니다.

남북한 모두 회원국인 ICAO 협약에는 "조약을 맺은 체약국 허가 없이 무인기가 체약국 상공을 비행해선 안 된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를 위반했는지 살펴달라는 취지였습니다.

이에 지난 1일, 36개국으로 구성된 ICAO 이사회는 비공개회의를 열어 북한의 요청에 대해 논의했고, 이 건과 관련한 어떠한 조치도 필요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북한의 주장에 명확한 근거가 없다고 보고 받아들이지 않은 겁니다.

또 북한이 그동안 국제 규범을 위반하고 민간 항공 안전을 위협한 사례가 많았다는 점이 기각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친 거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 ICAO는 북한의 'GPS 교란 행위'에 대해 우려와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신희석/전환기정의워킹그룹 법률분석관 : "한국 정부 측에서도 과거 북한의 그런 민간 항공 위협 사례들을 언급하면서 오히려 북한이 더 큰 위협이 되어 왔다는 점을 부각시킨 거로 보입니다."]

기각 결정에 따라 이 안건은 더 이상 ICAO에서 논의될 수 없습니다.

지난 2022년 12월 북한이 우리 영공에 무인기를 침투시켰을 때, 정부는 국제법적·외교적 측면 등을 고려해 진상조사는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서윤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