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 61% “해외 생산시설, 미국 대신 저관세 국가로 이전할 것”

입력 2025.04.15 (10:20) 수정 2025.04.15 (1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 진출 기업의 자국 복귀를 목표로 관세전쟁을 시작했지만 미국 기업 10곳 중 6곳 정도는 해외 생산시설의 미국 이전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미국 CNBC 방송은 최근 주요 공급망 기업 38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1%는 공급망을 미국으로 다시 이전하기보다는 관세가 낮은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복귀시키지 않는 이유로는 74%가 ‘비용’을 꼽았으며, 21%는 ‘숙련된 노동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이어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옮길 경우 비용이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18%였고, 두 배 이상으로 뛸 것이라는 응답은 47%였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미국 상공회의소, 전미제조업협회, 전미소매업연맹, 미국 의류·신발협회, 미국 신발 유통 및 소매업 협회,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 ITS 로지스틱스 회원사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더라도 근로자보다는 자동화 공정을 선호한다는 응답도 81%에 달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신뢰도 낮게 평가됐습니다.

응답자들은 기업들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 관세 외에 소비자 수요와 원자재 가격, ‘현 정부의 일관된 전략 부재’ 등을 꼽았습니다.

응답자의 61%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기업을 괴롭히고 있다’고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미국 공급망 재구축에 관심을 보인 응답자 중 41%는 공급망 재건에 3년에서 5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답했고, 33%는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현재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서는 기업의 89%가 주문 취소를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일 것이라는 예상도 75%에 달했습니다.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의 마크 박사 최고경영자(CEO)는 “현재 관세의 가장 즉각적인 영향은 주문 취소와 소비 지출 감소 위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새 관세를 적용받는 품목 생산업체 가운데 61%는 제품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소비 지출 감소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품목으로는 임의소비재(44%), 가구(19%), 사치품(19%)을 꼽았습니다.

응답자의 63%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올해 미국에 경기 침체가 올 것으로 봤으며, 그중 51%는 2분기를 그 시기로 예상했습니다.

미국 의류·신발협회의 스티브 라마 대표는 “미국에 수백만 개의 일자리와 저렴한 상품을 제공하는 공급망이 파괴적인 관세정책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대통령이 잘못된 관세정책을 추진하는 한 물가 상승, 일자리 감소, 제품 부족, 기업 파산 등은 미국 경제가 겪는 어려움의 일부에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기업 61% “해외 생산시설, 미국 대신 저관세 국가로 이전할 것”
    • 입력 2025-04-15 10:20:09
    • 수정2025-04-15 10:21:25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 진출 기업의 자국 복귀를 목표로 관세전쟁을 시작했지만 미국 기업 10곳 중 6곳 정도는 해외 생산시설의 미국 이전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미국 CNBC 방송은 최근 주요 공급망 기업 38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1%는 공급망을 미국으로 다시 이전하기보다는 관세가 낮은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복귀시키지 않는 이유로는 74%가 ‘비용’을 꼽았으며, 21%는 ‘숙련된 노동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이어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옮길 경우 비용이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18%였고, 두 배 이상으로 뛸 것이라는 응답은 47%였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미국 상공회의소, 전미제조업협회, 전미소매업연맹, 미국 의류·신발협회, 미국 신발 유통 및 소매업 협회,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 ITS 로지스틱스 회원사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더라도 근로자보다는 자동화 공정을 선호한다는 응답도 81%에 달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신뢰도 낮게 평가됐습니다.

응답자들은 기업들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 관세 외에 소비자 수요와 원자재 가격, ‘현 정부의 일관된 전략 부재’ 등을 꼽았습니다.

응답자의 61%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기업을 괴롭히고 있다’고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미국 공급망 재구축에 관심을 보인 응답자 중 41%는 공급망 재건에 3년에서 5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답했고, 33%는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현재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서는 기업의 89%가 주문 취소를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일 것이라는 예상도 75%에 달했습니다.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의 마크 박사 최고경영자(CEO)는 “현재 관세의 가장 즉각적인 영향은 주문 취소와 소비 지출 감소 위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새 관세를 적용받는 품목 생산업체 가운데 61%는 제품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소비 지출 감소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품목으로는 임의소비재(44%), 가구(19%), 사치품(19%)을 꼽았습니다.

응답자의 63%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올해 미국에 경기 침체가 올 것으로 봤으며, 그중 51%는 2분기를 그 시기로 예상했습니다.

미국 의류·신발협회의 스티브 라마 대표는 “미국에 수백만 개의 일자리와 저렴한 상품을 제공하는 공급망이 파괴적인 관세정책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대통령이 잘못된 관세정책을 추진하는 한 물가 상승, 일자리 감소, 제품 부족, 기업 파산 등은 미국 경제가 겪는 어려움의 일부에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