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경기 끝나면 ‘쓰레기 산’…대책 없나?

입력 2025.04.14 (12:34) 수정 2025.04.15 (13: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프로야구가 개막하며 많은 야구 팬들이 직접 경기장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쓰레기도 늘어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는데요.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구팬으로 들썩이는 사직구장.

각종 주전부리를 먹으며 흥을 더합니다.

음식 대부분이 일회용기에 담겼습니다.

[성미정/부산시 동래구 : "갖고 와서 그냥 버리고 가는 게 편하니까…. 파는 것도 전부 다 일회용밖에 안 파니까 쓸 수밖에 없죠."]

경기 종료 후 사직구장을 둘러 봤습니다.

경기가 끝난 후 관중들이 버린 쓰레기입니다.

플라스틱과 캔들이 한데 섞여 버려져 있고, 안에는 음식물도 들어있습니다.

한 경기가 끝날 때마다 발생하는 쓰레기 양만 6~7톤에 달합니다.

한 데 마구잡이로 섞여 있는 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고 정리하는 건 청소 노동자들 몫.

최대 70여 명이 투입돼 쓰레기를 치우는데도 청소는 새벽까지 이어집니다.

[청소 노동자/음성변조 : "일찍 끝나면 (새벽) 2시, 3시. 사람 많이 오면 많이 하고. 롯데 이기면 관중들이 잘 갖다주고 롯데 지면 휙 던지고 가요."]

환경부가 나서 프로야구 10개 구단과 함께 '일회용품 없는 야구장'을 만들기로 2년 전 약속했지만 사직구장에선 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지역 축제와 장례식장 등에 '다회용기'를 도입했지만, 야구장 적용은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당장 올해 예산은 야구장 다회용기 계획은 없고…."]

롯데자이언츠 구단 역시 현장 계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노형우/부산시 동래구 : "전국적으로 야구를 많이 보러 다니는데, 사직구장은 그런 거에 대한 대비는 안 돼 있는 것 같아요."]

잠실과 수원, 인천 등 3곳이 '다회용기'를 도입한 가운데, 잠실구장에서만 지난해 쓰레기 17톤을 줄였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경기 끝나면 ‘쓰레기 산’…대책 없나?
    • 입력 2025-04-14 12:34:13
    • 수정2025-04-15 13:57:39
    뉴스 12
[앵커]

프로야구가 개막하며 많은 야구 팬들이 직접 경기장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쓰레기도 늘어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는데요.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구팬으로 들썩이는 사직구장.

각종 주전부리를 먹으며 흥을 더합니다.

음식 대부분이 일회용기에 담겼습니다.

[성미정/부산시 동래구 : "갖고 와서 그냥 버리고 가는 게 편하니까…. 파는 것도 전부 다 일회용밖에 안 파니까 쓸 수밖에 없죠."]

경기 종료 후 사직구장을 둘러 봤습니다.

경기가 끝난 후 관중들이 버린 쓰레기입니다.

플라스틱과 캔들이 한데 섞여 버려져 있고, 안에는 음식물도 들어있습니다.

한 경기가 끝날 때마다 발생하는 쓰레기 양만 6~7톤에 달합니다.

한 데 마구잡이로 섞여 있는 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고 정리하는 건 청소 노동자들 몫.

최대 70여 명이 투입돼 쓰레기를 치우는데도 청소는 새벽까지 이어집니다.

[청소 노동자/음성변조 : "일찍 끝나면 (새벽) 2시, 3시. 사람 많이 오면 많이 하고. 롯데 이기면 관중들이 잘 갖다주고 롯데 지면 휙 던지고 가요."]

환경부가 나서 프로야구 10개 구단과 함께 '일회용품 없는 야구장'을 만들기로 2년 전 약속했지만 사직구장에선 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지역 축제와 장례식장 등에 '다회용기'를 도입했지만, 야구장 적용은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당장 올해 예산은 야구장 다회용기 계획은 없고…."]

롯데자이언츠 구단 역시 현장 계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노형우/부산시 동래구 : "전국적으로 야구를 많이 보러 다니는데, 사직구장은 그런 거에 대한 대비는 안 돼 있는 것 같아요."]

잠실과 수원, 인천 등 3곳이 '다회용기'를 도입한 가운데, 잠실구장에서만 지난해 쓰레기 17톤을 줄였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