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일회용 인생’을 정면으로 직시하는 ‘단 한 번의 삶’ 외

입력 2025.04.14 (09:54) 수정 2025.04.14 (0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 번뿐인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살다 보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하게 되죠.

정답은 없지만 이런 고민에 대한 진솔한 글을 통해 삶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단 한 번의 삶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알츠하이머를 앓다 돌아가신 어머니.

빈소에서 작가는 미처 몰랐던 어머니의 비밀을 알게 됩니다.

그 일을 계기로 부모와의 관계부터 유년기를 거쳐 학창 시절, 성인이 된 이후의 모습까지 자신의 삶을 하나하나 반추해 나갑니다.

그리하여 아무렇지 않게 넘겼던 순간들이 나의 삶을 형성해 온 과정이었다는 것을, 매일 매일 우리는 인생의 단 하나뿐인 선택지를 만들어 나간다는 걸 비로소 깨닫게 됩니다.

============================
불평등은 어떻게 몸을 갉아먹는가 알린 T. 제로니머스 지음 / 돌베개
============================

부와 교육 수준이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가 불공정한 사회가 주는 스트레스가 노화를 촉진하고,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차별과 편견이 어떻게 우리 몸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생생히 보여줍니다.

============================
마중도 배웅도 없이 박준 지음 / 창비
============================

일상의 소박한 순간을 투명한 언어로 포착하는 특유의 서정성을 보여줬던 박준 시인.

7년 만의 신작을 통해 한층 깊어진 성찰과 더욱 섬세해진 시어를 선보입니다.

============================
한국이란 무엇인가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여러 칼럼을 통해 기발한 상상력을 선보였던 김영민 교수가 12.3 계엄 사태를 맞은 한국 사회를 진단했습니다.

오늘의 위기 극복을 위해 우리는 왜 지금, 이 모습의 한국에 살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집중하자고 제안합니다.

============================
조선을 읽는 법, 단 장지연 지음 / 푸른역사
============================

사직단, 선농단처럼 하늘, 땅, 농경의 신 등에게 제사를 지내는 장소 단.

단을 세우고 운영하는 모습을 통해 조선의 통치 질서를 읽어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로 나온 책] ‘일회용 인생’을 정면으로 직시하는 ‘단 한 번의 삶’ 외
    • 입력 2025-04-14 09:54:44
    • 수정2025-04-14 09:58:28
    930뉴스
[앵커]

"한 번뿐인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살다 보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하게 되죠.

정답은 없지만 이런 고민에 대한 진솔한 글을 통해 삶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단 한 번의 삶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알츠하이머를 앓다 돌아가신 어머니.

빈소에서 작가는 미처 몰랐던 어머니의 비밀을 알게 됩니다.

그 일을 계기로 부모와의 관계부터 유년기를 거쳐 학창 시절, 성인이 된 이후의 모습까지 자신의 삶을 하나하나 반추해 나갑니다.

그리하여 아무렇지 않게 넘겼던 순간들이 나의 삶을 형성해 온 과정이었다는 것을, 매일 매일 우리는 인생의 단 하나뿐인 선택지를 만들어 나간다는 걸 비로소 깨닫게 됩니다.

============================
불평등은 어떻게 몸을 갉아먹는가 알린 T. 제로니머스 지음 / 돌베개
============================

부와 교육 수준이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가 불공정한 사회가 주는 스트레스가 노화를 촉진하고,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차별과 편견이 어떻게 우리 몸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생생히 보여줍니다.

============================
마중도 배웅도 없이 박준 지음 / 창비
============================

일상의 소박한 순간을 투명한 언어로 포착하는 특유의 서정성을 보여줬던 박준 시인.

7년 만의 신작을 통해 한층 깊어진 성찰과 더욱 섬세해진 시어를 선보입니다.

============================
한국이란 무엇인가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여러 칼럼을 통해 기발한 상상력을 선보였던 김영민 교수가 12.3 계엄 사태를 맞은 한국 사회를 진단했습니다.

오늘의 위기 극복을 위해 우리는 왜 지금, 이 모습의 한국에 살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집중하자고 제안합니다.

============================
조선을 읽는 법, 단 장지연 지음 / 푸른역사
============================

사직단, 선농단처럼 하늘, 땅, 농경의 신 등에게 제사를 지내는 장소 단.

단을 세우고 운영하는 모습을 통해 조선의 통치 질서를 읽어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현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