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자동차에 정책금융 2조원 추가 공급…“관세 대응 총력”
입력 2025.04.09 (12:27)
수정 2025.04.09 (13: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책 금융 투입, 내수 시장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일, 미국에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가 매겨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와 부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백억 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은 절반 남짓을 차지하는데, 25% 관세 부과의 여파로 수출이 약 65억 달러 줄어들 것으로 민간 연구기관은 내다봤습니다.
피해를 줄이겠다며 정부는 오늘(9일) 긴급 대책을 내놨습니다.
우선 자동차 산업에 2조 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3조 원인 정책금융을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향후 상황에 따라 추가 공급 여부도 검토합니다.
현대·기아차도 금융권과 함께 1조 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마련해, 협력사의 대출과 보증,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줄어들 수출을 내수 끌어올리기로 보완할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제조사의 할인 금액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 종료 시점을 올 상반기에서 연말로 연장합니다.
새 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을 5%에서 3.5%로 낮춰주던 제도도 올 상반기 종료가 예정돼 있었지만 추가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연구개발·시설 투자 기업들의 세액공제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안덕근/산업부 장관 : "(자동차 산업은) 34만 명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우리 경제의 중추이고, 2만여 개의 부품사로 이루어진 생태계는 한 번 무너지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지켜내야 합니다."]
정부는 향후 피해 상황과 대미 협상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며 앞으로도 필요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추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책 금융 투입, 내수 시장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일, 미국에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가 매겨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와 부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백억 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은 절반 남짓을 차지하는데, 25% 관세 부과의 여파로 수출이 약 65억 달러 줄어들 것으로 민간 연구기관은 내다봤습니다.
피해를 줄이겠다며 정부는 오늘(9일) 긴급 대책을 내놨습니다.
우선 자동차 산업에 2조 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3조 원인 정책금융을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향후 상황에 따라 추가 공급 여부도 검토합니다.
현대·기아차도 금융권과 함께 1조 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마련해, 협력사의 대출과 보증,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줄어들 수출을 내수 끌어올리기로 보완할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제조사의 할인 금액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 종료 시점을 올 상반기에서 연말로 연장합니다.
새 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을 5%에서 3.5%로 낮춰주던 제도도 올 상반기 종료가 예정돼 있었지만 추가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연구개발·시설 투자 기업들의 세액공제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안덕근/산업부 장관 : "(자동차 산업은) 34만 명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우리 경제의 중추이고, 2만여 개의 부품사로 이루어진 생태계는 한 번 무너지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지켜내야 합니다."]
정부는 향후 피해 상황과 대미 협상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며 앞으로도 필요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추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자동차에 정책금융 2조원 추가 공급…“관세 대응 총력”
-
- 입력 2025-04-09 12:27:45
- 수정2025-04-09 13:18:35

[앵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책 금융 투입, 내수 시장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일, 미국에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가 매겨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와 부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백억 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은 절반 남짓을 차지하는데, 25% 관세 부과의 여파로 수출이 약 65억 달러 줄어들 것으로 민간 연구기관은 내다봤습니다.
피해를 줄이겠다며 정부는 오늘(9일) 긴급 대책을 내놨습니다.
우선 자동차 산업에 2조 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3조 원인 정책금융을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향후 상황에 따라 추가 공급 여부도 검토합니다.
현대·기아차도 금융권과 함께 1조 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마련해, 협력사의 대출과 보증,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줄어들 수출을 내수 끌어올리기로 보완할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제조사의 할인 금액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 종료 시점을 올 상반기에서 연말로 연장합니다.
새 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을 5%에서 3.5%로 낮춰주던 제도도 올 상반기 종료가 예정돼 있었지만 추가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연구개발·시설 투자 기업들의 세액공제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안덕근/산업부 장관 : "(자동차 산업은) 34만 명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우리 경제의 중추이고, 2만여 개의 부품사로 이루어진 생태계는 한 번 무너지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지켜내야 합니다."]
정부는 향후 피해 상황과 대미 협상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며 앞으로도 필요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추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책 금융 투입, 내수 시장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일, 미국에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가 매겨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와 부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백억 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은 절반 남짓을 차지하는데, 25% 관세 부과의 여파로 수출이 약 65억 달러 줄어들 것으로 민간 연구기관은 내다봤습니다.
피해를 줄이겠다며 정부는 오늘(9일) 긴급 대책을 내놨습니다.
우선 자동차 산업에 2조 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3조 원인 정책금융을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향후 상황에 따라 추가 공급 여부도 검토합니다.
현대·기아차도 금융권과 함께 1조 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마련해, 협력사의 대출과 보증,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줄어들 수출을 내수 끌어올리기로 보완할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제조사의 할인 금액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 종료 시점을 올 상반기에서 연말로 연장합니다.
새 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을 5%에서 3.5%로 낮춰주던 제도도 올 상반기 종료가 예정돼 있었지만 추가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연구개발·시설 투자 기업들의 세액공제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안덕근/산업부 장관 : "(자동차 산업은) 34만 명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우리 경제의 중추이고, 2만여 개의 부품사로 이루어진 생태계는 한 번 무너지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지켜내야 합니다."]
정부는 향후 피해 상황과 대미 협상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며 앞으로도 필요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추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