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인터뷰] 조기 대선 후폭풍…대전·충남 통합 영향은?
입력 2025.04.08 (20:20)
수정 2025.04.08 (2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기 대선 여파로 지방행정 체제 개편 작업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인데요.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위원으로 계시는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지난달이죠.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특별법 초안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으로 어떤 것이 포함됐습니까?
[앵커]
그런데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 '특별법'을 국회가 우선순위에 두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한편, 행정통합에 적극 나섰던 충남도가 경제 분야에 한해서 충남 기업들을 떼어내야 한다는, '분리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대전상공회의소 관할에 충남남부상공회의소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건데, 행정통합을 선언한 마당에 경제단체를 분리하겠다는 것이 모순되지 않나 싶네요?
[앵커]
행정통합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 권한 이양을 추진해야 하는데, 한덕수 대행 체제에서는 사실상 논의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또, 조기 대선 이후 차기 정권이 행정통합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모르는 상황에 충청권 행정통합이 지속적으로 추진이 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조만간 모여 대선 주자 선정 등 조기 대선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데요.
이렇게 시도지사들의 관심도 조기대선에 쏠려 있는데 행정통합 추진이 가능하다 보십니까?
조기 대선 여파로 지방행정 체제 개편 작업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인데요.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위원으로 계시는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지난달이죠.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특별법 초안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으로 어떤 것이 포함됐습니까?
[앵커]
그런데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 '특별법'을 국회가 우선순위에 두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한편, 행정통합에 적극 나섰던 충남도가 경제 분야에 한해서 충남 기업들을 떼어내야 한다는, '분리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대전상공회의소 관할에 충남남부상공회의소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건데, 행정통합을 선언한 마당에 경제단체를 분리하겠다는 것이 모순되지 않나 싶네요?
[앵커]
행정통합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 권한 이양을 추진해야 하는데, 한덕수 대행 체제에서는 사실상 논의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또, 조기 대선 이후 차기 정권이 행정통합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모르는 상황에 충청권 행정통합이 지속적으로 추진이 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조만간 모여 대선 주자 선정 등 조기 대선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데요.
이렇게 시도지사들의 관심도 조기대선에 쏠려 있는데 행정통합 추진이 가능하다 보십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인터뷰] 조기 대선 후폭풍…대전·충남 통합 영향은?
-
- 입력 2025-04-08 20:20:17
- 수정2025-04-08 20:35:21

[앵커]
조기 대선 여파로 지방행정 체제 개편 작업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인데요.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위원으로 계시는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지난달이죠.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특별법 초안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으로 어떤 것이 포함됐습니까?
[앵커]
그런데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 '특별법'을 국회가 우선순위에 두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한편, 행정통합에 적극 나섰던 충남도가 경제 분야에 한해서 충남 기업들을 떼어내야 한다는, '분리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대전상공회의소 관할에 충남남부상공회의소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건데, 행정통합을 선언한 마당에 경제단체를 분리하겠다는 것이 모순되지 않나 싶네요?
[앵커]
행정통합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 권한 이양을 추진해야 하는데, 한덕수 대행 체제에서는 사실상 논의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또, 조기 대선 이후 차기 정권이 행정통합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모르는 상황에 충청권 행정통합이 지속적으로 추진이 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조만간 모여 대선 주자 선정 등 조기 대선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데요.
이렇게 시도지사들의 관심도 조기대선에 쏠려 있는데 행정통합 추진이 가능하다 보십니까?
조기 대선 여파로 지방행정 체제 개편 작업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인데요.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위원으로 계시는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지난달이죠.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특별법 초안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으로 어떤 것이 포함됐습니까?
[앵커]
그런데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 '특별법'을 국회가 우선순위에 두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한편, 행정통합에 적극 나섰던 충남도가 경제 분야에 한해서 충남 기업들을 떼어내야 한다는, '분리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대전상공회의소 관할에 충남남부상공회의소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건데, 행정통합을 선언한 마당에 경제단체를 분리하겠다는 것이 모순되지 않나 싶네요?
[앵커]
행정통합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 권한 이양을 추진해야 하는데, 한덕수 대행 체제에서는 사실상 논의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또, 조기 대선 이후 차기 정권이 행정통합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모르는 상황에 충청권 행정통합이 지속적으로 추진이 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조만간 모여 대선 주자 선정 등 조기 대선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데요.
이렇게 시도지사들의 관심도 조기대선에 쏠려 있는데 행정통합 추진이 가능하다 보십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