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조·국회봉쇄 의혹’ 경찰 간부들…검찰, 피의자 신분 소환
입력 2025.02.24 (16:29)
수정 2025.02.24 (16: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당시 경찰의 이른바 ‘정치인 체포조’ 운용 가담과 국회 봉쇄 의혹을 받는 경찰 간부를 소환했습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오늘(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과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계엄 당시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검찰은 체포조 편성 중 국수본 간부가 ‘도대체 누구를 체포하는 겁니까’라고 묻자, 방첩사 간부가 “이재명, 한동훈입니다”라고 대답한 내용이 전 담당관 등 국수본 간부 사이에 공유됐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실제 검찰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에는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쯤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 줄 수 있느냐’고 물은 내용이 적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을 뿐이란 입장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첫 압수수색에 이어 지난달 31일에도 전 담당관을 포함한 국수본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습니다.
또한 검찰은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는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금지한 경위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오늘(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과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계엄 당시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검찰은 체포조 편성 중 국수본 간부가 ‘도대체 누구를 체포하는 겁니까’라고 묻자, 방첩사 간부가 “이재명, 한동훈입니다”라고 대답한 내용이 전 담당관 등 국수본 간부 사이에 공유됐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실제 검찰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에는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쯤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 줄 수 있느냐’고 물은 내용이 적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을 뿐이란 입장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첫 압수수색에 이어 지난달 31일에도 전 담당관을 포함한 국수본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습니다.
또한 검찰은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는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금지한 경위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포조·국회봉쇄 의혹’ 경찰 간부들…검찰, 피의자 신분 소환
-
- 입력 2025-02-24 16:29:53
- 수정2025-02-24 16:49:44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당시 경찰의 이른바 ‘정치인 체포조’ 운용 가담과 국회 봉쇄 의혹을 받는 경찰 간부를 소환했습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오늘(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과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계엄 당시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검찰은 체포조 편성 중 국수본 간부가 ‘도대체 누구를 체포하는 겁니까’라고 묻자, 방첩사 간부가 “이재명, 한동훈입니다”라고 대답한 내용이 전 담당관 등 국수본 간부 사이에 공유됐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실제 검찰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에는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쯤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 줄 수 있느냐’고 물은 내용이 적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을 뿐이란 입장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첫 압수수색에 이어 지난달 31일에도 전 담당관을 포함한 국수본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습니다.
또한 검찰은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는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금지한 경위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오늘(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과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계엄 당시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검찰은 체포조 편성 중 국수본 간부가 ‘도대체 누구를 체포하는 겁니까’라고 묻자, 방첩사 간부가 “이재명, 한동훈입니다”라고 대답한 내용이 전 담당관 등 국수본 간부 사이에 공유됐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실제 검찰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에는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쯤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 줄 수 있느냐’고 물은 내용이 적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을 뿐이란 입장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첫 압수수색에 이어 지난달 31일에도 전 담당관을 포함한 국수본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습니다.
또한 검찰은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는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금지한 경위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영훈 기자 huni@kbs.co.kr
김영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