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여당 포기 선언문”…‘명태균 특검법’ 발의
입력 2025.02.11 (12:41)
수정 2025.02.11 (1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정 혼란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의 연설에 야당은 반성도 미래비전도 없이 야당 탓만 하고 있다며 일제히 반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할 계획입니다.
박영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내란 사태 반성도 미래 비전도 제시하지 않고 이재명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윤종군/민주당 원내대변인 : "상대에 대한 비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습니다.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조국혁신당도 여당의 교섭단체 연설이 야당과 전 정부 탓만 하고 있다며 권 원내대표가 제안한 개헌은 진정성을 보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김보협/조국혁신당 대변인 : "헌법 탓을 하면서 개헌을 하자는데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자문기구에 국민의힘만 빠져 있는 점은 어떻게 둘러댈 겁니까?"]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규명하는 명태균 특검법안을 오늘 발의합니다.
국정농단 의혹의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가 비상계엄을 서두르게 한 배경이라면서, 내란 전모를 밝히기 위해 특검이 필요하단 주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검찰 진술 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다고 밝힌 헌재를 향해, 형사소송법 원칙에 위배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형사소송법상 피고인이 인정할 때만 검찰 신문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게 돼있지만, 주요 증인들에 대한 검찰 기록 신빙성이 흔들리고 있다며 헌재 심판에 불공정 논란이 불가피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여야는 어제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애도를 표하면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국정 혼란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의 연설에 야당은 반성도 미래비전도 없이 야당 탓만 하고 있다며 일제히 반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할 계획입니다.
박영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내란 사태 반성도 미래 비전도 제시하지 않고 이재명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윤종군/민주당 원내대변인 : "상대에 대한 비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습니다.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조국혁신당도 여당의 교섭단체 연설이 야당과 전 정부 탓만 하고 있다며 권 원내대표가 제안한 개헌은 진정성을 보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김보협/조국혁신당 대변인 : "헌법 탓을 하면서 개헌을 하자는데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자문기구에 국민의힘만 빠져 있는 점은 어떻게 둘러댈 겁니까?"]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규명하는 명태균 특검법안을 오늘 발의합니다.
국정농단 의혹의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가 비상계엄을 서두르게 한 배경이라면서, 내란 전모를 밝히기 위해 특검이 필요하단 주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검찰 진술 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다고 밝힌 헌재를 향해, 형사소송법 원칙에 위배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형사소송법상 피고인이 인정할 때만 검찰 신문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게 돼있지만, 주요 증인들에 대한 검찰 기록 신빙성이 흔들리고 있다며 헌재 심판에 불공정 논란이 불가피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여야는 어제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애도를 표하면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야 “여당 포기 선언문”…‘명태균 특검법’ 발의
-
- 입력 2025-02-11 12:41:06
- 수정2025-02-11 17:34:43
![](/data/news/2025/02/11/20250211_dG3sfp.jpg)
[앵커]
국정 혼란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의 연설에 야당은 반성도 미래비전도 없이 야당 탓만 하고 있다며 일제히 반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할 계획입니다.
박영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내란 사태 반성도 미래 비전도 제시하지 않고 이재명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윤종군/민주당 원내대변인 : "상대에 대한 비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습니다.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조국혁신당도 여당의 교섭단체 연설이 야당과 전 정부 탓만 하고 있다며 권 원내대표가 제안한 개헌은 진정성을 보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김보협/조국혁신당 대변인 : "헌법 탓을 하면서 개헌을 하자는데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자문기구에 국민의힘만 빠져 있는 점은 어떻게 둘러댈 겁니까?"]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규명하는 명태균 특검법안을 오늘 발의합니다.
국정농단 의혹의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가 비상계엄을 서두르게 한 배경이라면서, 내란 전모를 밝히기 위해 특검이 필요하단 주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검찰 진술 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다고 밝힌 헌재를 향해, 형사소송법 원칙에 위배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형사소송법상 피고인이 인정할 때만 검찰 신문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게 돼있지만, 주요 증인들에 대한 검찰 기록 신빙성이 흔들리고 있다며 헌재 심판에 불공정 논란이 불가피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여야는 어제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애도를 표하면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국정 혼란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의 연설에 야당은 반성도 미래비전도 없이 야당 탓만 하고 있다며 일제히 반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할 계획입니다.
박영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내란 사태 반성도 미래 비전도 제시하지 않고 이재명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윤종군/민주당 원내대변인 : "상대에 대한 비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습니다.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조국혁신당도 여당의 교섭단체 연설이 야당과 전 정부 탓만 하고 있다며 권 원내대표가 제안한 개헌은 진정성을 보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김보협/조국혁신당 대변인 : "헌법 탓을 하면서 개헌을 하자는데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자문기구에 국민의힘만 빠져 있는 점은 어떻게 둘러댈 겁니까?"]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규명하는 명태균 특검법안을 오늘 발의합니다.
국정농단 의혹의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가 비상계엄을 서두르게 한 배경이라면서, 내란 전모를 밝히기 위해 특검이 필요하단 주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검찰 진술 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다고 밝힌 헌재를 향해, 형사소송법 원칙에 위배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형사소송법상 피고인이 인정할 때만 검찰 신문조서를 증거로 쓸 수 있게 돼있지만, 주요 증인들에 대한 검찰 기록 신빙성이 흔들리고 있다며 헌재 심판에 불공정 논란이 불가피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여야는 어제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애도를 표하면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