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의원’·‘인원’ 말 안해”…“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입력 2025.02.06 (21:07)
수정 2025.02.06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 대통령은 자신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언을 직접 반박했습니다.
의원이나 인원이란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이 탄핵 공작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막바지에 반박을 이어 나갔습니다.
현장 안전 문제를 확인하려고 전화했던 것일 뿐, '의원', 그리고 '인원'이란 말조차 쓴 적 없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는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저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다짜고짜 전화해서 의결정족수 안 되게 막아라, 끄집어내라.
이런 지시가 공직사회에서 가능한 이야기인지 재판관들이 상식선에서 봐달라고 말했습니다.
또, 통화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지시에 반박하거나 이행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적도 없다며,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 두 사람의 잘못된 진술 탓에 탄핵 국면이 시작됐다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12월 6일 바로 홍장원의 공작과 12월 6일 우리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거로 보이고요."]
윤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여러 차례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처음엔 차마 그대로 쓸 수 없어 용어를 순화했던 거라고 반박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 "'부수고'를 그냥 '열고'라고 했고 '끌어내라'라는 거도 제가 그냥 '데리고 나와라' 이렇게 용어를 언어 순화해서 쓴 것이지 그거를 바꿔서가 아닙니다."]
한편,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통해 '문을 부수라', '총'이라는 말을 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 /그래픽:김성일
윤 대통령은 자신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언을 직접 반박했습니다.
의원이나 인원이란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이 탄핵 공작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막바지에 반박을 이어 나갔습니다.
현장 안전 문제를 확인하려고 전화했던 것일 뿐, '의원', 그리고 '인원'이란 말조차 쓴 적 없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는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저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다짜고짜 전화해서 의결정족수 안 되게 막아라, 끄집어내라.
이런 지시가 공직사회에서 가능한 이야기인지 재판관들이 상식선에서 봐달라고 말했습니다.
또, 통화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지시에 반박하거나 이행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적도 없다며,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 두 사람의 잘못된 진술 탓에 탄핵 국면이 시작됐다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12월 6일 바로 홍장원의 공작과 12월 6일 우리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거로 보이고요."]
윤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여러 차례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처음엔 차마 그대로 쓸 수 없어 용어를 순화했던 거라고 반박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 "'부수고'를 그냥 '열고'라고 했고 '끌어내라'라는 거도 제가 그냥 '데리고 나와라' 이렇게 용어를 언어 순화해서 쓴 것이지 그거를 바꿔서가 아닙니다."]
한편,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통해 '문을 부수라', '총'이라는 말을 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 /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의원’·‘인원’ 말 안해”…“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
- 입력 2025-02-06 21:07:44
- 수정2025-02-06 22:04:39
![](/data/news/2025/02/06/20250206_kYXByU.jpg)
[앵커]
윤 대통령은 자신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언을 직접 반박했습니다.
의원이나 인원이란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이 탄핵 공작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막바지에 반박을 이어 나갔습니다.
현장 안전 문제를 확인하려고 전화했던 것일 뿐, '의원', 그리고 '인원'이란 말조차 쓴 적 없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는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저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다짜고짜 전화해서 의결정족수 안 되게 막아라, 끄집어내라.
이런 지시가 공직사회에서 가능한 이야기인지 재판관들이 상식선에서 봐달라고 말했습니다.
또, 통화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지시에 반박하거나 이행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적도 없다며,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 두 사람의 잘못된 진술 탓에 탄핵 국면이 시작됐다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12월 6일 바로 홍장원의 공작과 12월 6일 우리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거로 보이고요."]
윤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여러 차례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처음엔 차마 그대로 쓸 수 없어 용어를 순화했던 거라고 반박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 "'부수고'를 그냥 '열고'라고 했고 '끌어내라'라는 거도 제가 그냥 '데리고 나와라' 이렇게 용어를 언어 순화해서 쓴 것이지 그거를 바꿔서가 아닙니다."]
한편,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통해 '문을 부수라', '총'이라는 말을 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 /그래픽:김성일
윤 대통령은 자신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언을 직접 반박했습니다.
의원이나 인원이란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이 탄핵 공작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막바지에 반박을 이어 나갔습니다.
현장 안전 문제를 확인하려고 전화했던 것일 뿐, '의원', 그리고 '인원'이란 말조차 쓴 적 없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는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저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다짜고짜 전화해서 의결정족수 안 되게 막아라, 끄집어내라.
이런 지시가 공직사회에서 가능한 이야기인지 재판관들이 상식선에서 봐달라고 말했습니다.
또, 통화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지시에 반박하거나 이행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적도 없다며,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 두 사람의 잘못된 진술 탓에 탄핵 국면이 시작됐다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12월 6일 바로 홍장원의 공작과 12월 6일 우리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거로 보이고요."]
윤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여러 차례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처음엔 차마 그대로 쓸 수 없어 용어를 순화했던 거라고 반박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 "'부수고'를 그냥 '열고'라고 했고 '끌어내라'라는 거도 제가 그냥 '데리고 나와라' 이렇게 용어를 언어 순화해서 쓴 것이지 그거를 바꿔서가 아닙니다."]
한편,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통해 '문을 부수라', '총'이라는 말을 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 /그래픽:김성일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