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서 개인정보 유출…부실한 현장조사가 원인
입력 2025.02.06 (19:10)
수정 2025.02.06 (20: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폐교한 대학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소식, 며칠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관계기관의 현장조사 역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력 확충과 더불어 명확한 기준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10여년 전 문을 닫은 전남의 한 대학교.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교에 남아 있던 입학원서 등이 인터넷 방송에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주민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 기록물 이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
학교 측은 지난해 1월 현장조사를 거쳐 모든 기록물을 한국사학진흥재단에 기증하기로 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 재단 관계자/음성변조 : "필요한 게 어떤 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거는 저희가 가져가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현장 조사가 부실했습니다.
일부 기록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관 작업이 이뤄진 겁니다.
사학진흥재단 측은 이런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폐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는 단 한 명.
직원 1명이 전국의 폐교 19곳을 돌며 기록물 이전 대상을 구분하다보니 어려움이 있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가 결정된 대학이 기록물 분류는 물론 기관 이전 등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것도 현실입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문 닫는 대학이 늘 수 밖에 없는 상황.
폐교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기록물에 대한 관리 주체와 의무, 법적 책임 등을 명확히 제도화하는 것과 더불어 관계 기관의 인력과 예산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폐교한 대학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소식, 며칠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관계기관의 현장조사 역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력 확충과 더불어 명확한 기준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10여년 전 문을 닫은 전남의 한 대학교.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교에 남아 있던 입학원서 등이 인터넷 방송에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주민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 기록물 이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
학교 측은 지난해 1월 현장조사를 거쳐 모든 기록물을 한국사학진흥재단에 기증하기로 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 재단 관계자/음성변조 : "필요한 게 어떤 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거는 저희가 가져가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현장 조사가 부실했습니다.
일부 기록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관 작업이 이뤄진 겁니다.
사학진흥재단 측은 이런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폐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는 단 한 명.
직원 1명이 전국의 폐교 19곳을 돌며 기록물 이전 대상을 구분하다보니 어려움이 있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가 결정된 대학이 기록물 분류는 물론 기관 이전 등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것도 현실입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문 닫는 대학이 늘 수 밖에 없는 상황.
폐교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기록물에 대한 관리 주체와 의무, 법적 책임 등을 명확히 제도화하는 것과 더불어 관계 기관의 인력과 예산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폐교서 개인정보 유출…부실한 현장조사가 원인
-
- 입력 2025-02-06 19:10:26
- 수정2025-02-06 20:24:49
![](/data/news/title_image/newsmp4/gwangju/news7/2025/02/06/40_8169244.jpg)
[앵커]
폐교한 대학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소식, 며칠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관계기관의 현장조사 역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력 확충과 더불어 명확한 기준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10여년 전 문을 닫은 전남의 한 대학교.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교에 남아 있던 입학원서 등이 인터넷 방송에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주민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 기록물 이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
학교 측은 지난해 1월 현장조사를 거쳐 모든 기록물을 한국사학진흥재단에 기증하기로 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 재단 관계자/음성변조 : "필요한 게 어떤 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거는 저희가 가져가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현장 조사가 부실했습니다.
일부 기록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관 작업이 이뤄진 겁니다.
사학진흥재단 측은 이런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폐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는 단 한 명.
직원 1명이 전국의 폐교 19곳을 돌며 기록물 이전 대상을 구분하다보니 어려움이 있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가 결정된 대학이 기록물 분류는 물론 기관 이전 등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것도 현실입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문 닫는 대학이 늘 수 밖에 없는 상황.
폐교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기록물에 대한 관리 주체와 의무, 법적 책임 등을 명확히 제도화하는 것과 더불어 관계 기관의 인력과 예산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폐교한 대학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소식, 며칠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관계기관의 현장조사 역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력 확충과 더불어 명확한 기준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10여년 전 문을 닫은 전남의 한 대학교.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교에 남아 있던 입학원서 등이 인터넷 방송에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주민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긴 입학원서 등 기록물 이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
학교 측은 지난해 1월 현장조사를 거쳐 모든 기록물을 한국사학진흥재단에 기증하기로 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 재단 관계자/음성변조 : "필요한 게 어떤 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거는 저희가 가져가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현장 조사가 부실했습니다.
일부 기록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관 작업이 이뤄진 겁니다.
사학진흥재단 측은 이런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폐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는 단 한 명.
직원 1명이 전국의 폐교 19곳을 돌며 기록물 이전 대상을 구분하다보니 어려움이 있었다는 입장입니다.
폐교가 결정된 대학이 기록물 분류는 물론 기관 이전 등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것도 현실입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문 닫는 대학이 늘 수 밖에 없는 상황.
폐교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담긴 기록물에 대한 관리 주체와 의무, 법적 책임 등을 명확히 제도화하는 것과 더불어 관계 기관의 인력과 예산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
손준수 기자 handsome@kbs.co.kr
손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