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비 5억 달러 이상 추정”
입력 2025.02.02 (05:48)
수정 2025.02.02 (0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낮은 개발 비용과 우수한 성능으로 전 세계 테크업계를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비용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10배는 더 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현지 시간 1일,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 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하드웨어 지출은 AI 모델 구동에 필요한 AI 칩, 서버 비용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딥시크가 당초 주장한 총훈련 비용의 약 90배에 달합니다.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에 대한 보고서에서 엔비디아의 저렴한 AI 칩인 ‘H8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557만 6천 달러(약 81억 3천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밝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연구개발(R&D) 비용과 운영 및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고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합성 데이터’ 생성에도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아울러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3.5 소네트 훈련 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며 “하지만 앤스로픽은 아마존과 구글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AI 모델 운영과 기업 운영에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새로운 아키텍처 개발, 데이터 수집, 직원 급여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이런 수준의 비용과 성능을 먼저 달성한 점에서 독보적”이라며 “딥시크의 R1 모델이 매우 우수하며, 이 정도의 논리적 추론 능력에 빠르게 도달한 것은 객관적으로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간 1일,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 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하드웨어 지출은 AI 모델 구동에 필요한 AI 칩, 서버 비용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딥시크가 당초 주장한 총훈련 비용의 약 90배에 달합니다.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에 대한 보고서에서 엔비디아의 저렴한 AI 칩인 ‘H8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557만 6천 달러(약 81억 3천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밝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연구개발(R&D) 비용과 운영 및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고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합성 데이터’ 생성에도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아울러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3.5 소네트 훈련 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며 “하지만 앤스로픽은 아마존과 구글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AI 모델 운영과 기업 운영에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새로운 아키텍처 개발, 데이터 수집, 직원 급여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이런 수준의 비용과 성능을 먼저 달성한 점에서 독보적”이라며 “딥시크의 R1 모델이 매우 우수하며, 이 정도의 논리적 추론 능력에 빠르게 도달한 것은 객관적으로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비 5억 달러 이상 추정”
-
- 입력 2025-02-02 05:48:37
- 수정2025-02-02 06:51:21
낮은 개발 비용과 우수한 성능으로 전 세계 테크업계를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비용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10배는 더 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현지 시간 1일,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 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하드웨어 지출은 AI 모델 구동에 필요한 AI 칩, 서버 비용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딥시크가 당초 주장한 총훈련 비용의 약 90배에 달합니다.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에 대한 보고서에서 엔비디아의 저렴한 AI 칩인 ‘H8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557만 6천 달러(약 81억 3천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밝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연구개발(R&D) 비용과 운영 및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고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합성 데이터’ 생성에도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아울러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3.5 소네트 훈련 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며 “하지만 앤스로픽은 아마존과 구글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AI 모델 운영과 기업 운영에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새로운 아키텍처 개발, 데이터 수집, 직원 급여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이런 수준의 비용과 성능을 먼저 달성한 점에서 독보적”이라며 “딥시크의 R1 모델이 매우 우수하며, 이 정도의 논리적 추론 능력에 빠르게 도달한 것은 객관적으로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간 1일,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 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하드웨어 지출은 AI 모델 구동에 필요한 AI 칩, 서버 비용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딥시크가 당초 주장한 총훈련 비용의 약 90배에 달합니다.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에 대한 보고서에서 엔비디아의 저렴한 AI 칩인 ‘H8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557만 6천 달러(약 81억 3천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밝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연구개발(R&D) 비용과 운영 및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고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합성 데이터’ 생성에도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아울러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3.5 소네트 훈련 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며 “하지만 앤스로픽은 아마존과 구글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AI 모델 운영과 기업 운영에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새로운 아키텍처 개발, 데이터 수집, 직원 급여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이런 수준의 비용과 성능을 먼저 달성한 점에서 독보적”이라며 “딥시크의 R1 모델이 매우 우수하며, 이 정도의 논리적 추론 능력에 빠르게 도달한 것은 객관적으로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