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기상이변으로 병원 만 6천여 곳 ‘폐쇄 고위험군’
입력 2023.12.05 (12:27)
수정 2023.12.08 (16: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환경 뉴스 '기후는 말한다'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뎅기열과 말라리아와 같은 모기 매개의 감염병 등이 늘고 있는데요.
이를 치료하기 위해선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데요.
전 세계 병원 12곳 중 한 곳이 기상이변으로 전체 또는 부분 폐쇄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후위험 분석기관인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이번 세기 말까지 전 세계에서 만 6천 245개의 병원이 폐쇄 고위험군에 속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수천 개의 병원이 위기 상황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돼 세계 보건 시스템에 대한 위험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병원이 허리케인이나 산불 등 기상이변에 대처하지 못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전해야 할 수 있다는데요.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폐쇄 위험에 처한 병원의 71%가 중·저소득 국가에 있어서, 각국 정부가 자국 내 병원을 점검하고 보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뎅기열과 말라리아와 같은 모기 매개의 감염병 등이 늘고 있는데요.
이를 치료하기 위해선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데요.
전 세계 병원 12곳 중 한 곳이 기상이변으로 전체 또는 부분 폐쇄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후위험 분석기관인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이번 세기 말까지 전 세계에서 만 6천 245개의 병원이 폐쇄 고위험군에 속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수천 개의 병원이 위기 상황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돼 세계 보건 시스템에 대한 위험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병원이 허리케인이나 산불 등 기상이변에 대처하지 못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전해야 할 수 있다는데요.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폐쇄 위험에 처한 병원의 71%가 중·저소득 국가에 있어서, 각국 정부가 자국 내 병원을 점검하고 보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기상이변으로 병원 만 6천여 곳 ‘폐쇄 고위험군’
-
- 입력 2023-12-05 12:27:37
- 수정2023-12-08 16:08:51

기후 환경 뉴스 '기후는 말한다'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뎅기열과 말라리아와 같은 모기 매개의 감염병 등이 늘고 있는데요.
이를 치료하기 위해선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데요.
전 세계 병원 12곳 중 한 곳이 기상이변으로 전체 또는 부분 폐쇄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후위험 분석기관인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이번 세기 말까지 전 세계에서 만 6천 245개의 병원이 폐쇄 고위험군에 속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수천 개의 병원이 위기 상황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돼 세계 보건 시스템에 대한 위험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병원이 허리케인이나 산불 등 기상이변에 대처하지 못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전해야 할 수 있다는데요.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폐쇄 위험에 처한 병원의 71%가 중·저소득 국가에 있어서, 각국 정부가 자국 내 병원을 점검하고 보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뎅기열과 말라리아와 같은 모기 매개의 감염병 등이 늘고 있는데요.
이를 치료하기 위해선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데요.
전 세계 병원 12곳 중 한 곳이 기상이변으로 전체 또는 부분 폐쇄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후위험 분석기관인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이번 세기 말까지 전 세계에서 만 6천 245개의 병원이 폐쇄 고위험군에 속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수천 개의 병원이 위기 상황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돼 세계 보건 시스템에 대한 위험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병원이 허리케인이나 산불 등 기상이변에 대처하지 못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전해야 할 수 있다는데요.
상호의존이니셔티브는 폐쇄 위험에 처한 병원의 71%가 중·저소득 국가에 있어서, 각국 정부가 자국 내 병원을 점검하고 보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