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주 복귀 여부 현장조사…‘유가보조금·통행료 감면 제외’ 실효성 있나?
입력 2022.12.06 (06:21)
수정 2022.12.06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화물차주와 운송사들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유가보조금과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을 끊겠다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정부의 기대만큼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 박영민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국토부 조사팀이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시멘트 운송업체를 닷새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화물차주들이 운행을 시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박대순/국토교통부 상황관리반장 : "마지막 기회이지 않을까 싶은데, 계속 좀 (업무 복귀를) 종용을 해 주시고... (예, 지금 하고 있습니다.)"]
우편이나 문자로 업무 개시 명령을 받아 업무에 복귀해야 하는 화물차주는 모두 455명.
하지만 소명 절차 등을 거쳐야 해 즉시 조치는 쉽지 않은 가운데, 화물연대 소속 차주들의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박귀란/화물연대 전략조직국장 : "제대로 송달조차 안 거치고 일단 미복귀자부터 빨리 찾아내서 처벌하겠다는 게 사실은 저희 입장에서는 너무 행정 집행을 과도하게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요."]
정부가 압박카드로 내놓은 유가보조금 지급 중단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중지는 시간이 더 걸립니다.
유가보조금은 법을 바꿔야 하는데, 국회에서 다수인 야당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통행료 감면은 정부가 시행령을 바꾸면 되지만 절차를 다 따른다면 한 달 넘게 걸립니다.
국토부 관계자도 이번 파업보다는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대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화물차주들도 어차피 유명무실한 지원이었다며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박경수/화물차주 : "화주가 운반비에서 그걸(보조금) 깎고, 거의 운송료를 깎고 주기 때문에 별반 실질적으로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습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건설노조 등이 화물연대의 지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민주노총은 오늘 오후 전국 15곳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이경민/화면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화물차주와 운송사들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유가보조금과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을 끊겠다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정부의 기대만큼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 박영민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국토부 조사팀이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시멘트 운송업체를 닷새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화물차주들이 운행을 시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박대순/국토교통부 상황관리반장 : "마지막 기회이지 않을까 싶은데, 계속 좀 (업무 복귀를) 종용을 해 주시고... (예, 지금 하고 있습니다.)"]
우편이나 문자로 업무 개시 명령을 받아 업무에 복귀해야 하는 화물차주는 모두 455명.
하지만 소명 절차 등을 거쳐야 해 즉시 조치는 쉽지 않은 가운데, 화물연대 소속 차주들의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박귀란/화물연대 전략조직국장 : "제대로 송달조차 안 거치고 일단 미복귀자부터 빨리 찾아내서 처벌하겠다는 게 사실은 저희 입장에서는 너무 행정 집행을 과도하게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요."]
정부가 압박카드로 내놓은 유가보조금 지급 중단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중지는 시간이 더 걸립니다.
유가보조금은 법을 바꿔야 하는데, 국회에서 다수인 야당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통행료 감면은 정부가 시행령을 바꾸면 되지만 절차를 다 따른다면 한 달 넘게 걸립니다.
국토부 관계자도 이번 파업보다는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대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화물차주들도 어차피 유명무실한 지원이었다며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박경수/화물차주 : "화주가 운반비에서 그걸(보조금) 깎고, 거의 운송료를 깎고 주기 때문에 별반 실질적으로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습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건설노조 등이 화물연대의 지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민주노총은 오늘 오후 전국 15곳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이경민/화면제공:국토교통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물차주 복귀 여부 현장조사…‘유가보조금·통행료 감면 제외’ 실효성 있나?
-
- 입력 2022-12-06 06:21:17
- 수정2022-12-06 08:05:09
[앵커]
정부가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화물차주와 운송사들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유가보조금과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을 끊겠다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정부의 기대만큼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 박영민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국토부 조사팀이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시멘트 운송업체를 닷새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화물차주들이 운행을 시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박대순/국토교통부 상황관리반장 : "마지막 기회이지 않을까 싶은데, 계속 좀 (업무 복귀를) 종용을 해 주시고... (예, 지금 하고 있습니다.)"]
우편이나 문자로 업무 개시 명령을 받아 업무에 복귀해야 하는 화물차주는 모두 455명.
하지만 소명 절차 등을 거쳐야 해 즉시 조치는 쉽지 않은 가운데, 화물연대 소속 차주들의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박귀란/화물연대 전략조직국장 : "제대로 송달조차 안 거치고 일단 미복귀자부터 빨리 찾아내서 처벌하겠다는 게 사실은 저희 입장에서는 너무 행정 집행을 과도하게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요."]
정부가 압박카드로 내놓은 유가보조금 지급 중단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중지는 시간이 더 걸립니다.
유가보조금은 법을 바꿔야 하는데, 국회에서 다수인 야당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통행료 감면은 정부가 시행령을 바꾸면 되지만 절차를 다 따른다면 한 달 넘게 걸립니다.
국토부 관계자도 이번 파업보다는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대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화물차주들도 어차피 유명무실한 지원이었다며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박경수/화물차주 : "화주가 운반비에서 그걸(보조금) 깎고, 거의 운송료를 깎고 주기 때문에 별반 실질적으로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습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건설노조 등이 화물연대의 지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민주노총은 오늘 오후 전국 15곳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이경민/화면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화물차주와 운송사들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유가보조금과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을 끊겠다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정부의 기대만큼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 박영민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국토부 조사팀이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시멘트 운송업체를 닷새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화물차주들이 운행을 시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박대순/국토교통부 상황관리반장 : "마지막 기회이지 않을까 싶은데, 계속 좀 (업무 복귀를) 종용을 해 주시고... (예, 지금 하고 있습니다.)"]
우편이나 문자로 업무 개시 명령을 받아 업무에 복귀해야 하는 화물차주는 모두 455명.
하지만 소명 절차 등을 거쳐야 해 즉시 조치는 쉽지 않은 가운데, 화물연대 소속 차주들의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박귀란/화물연대 전략조직국장 : "제대로 송달조차 안 거치고 일단 미복귀자부터 빨리 찾아내서 처벌하겠다는 게 사실은 저희 입장에서는 너무 행정 집행을 과도하게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요."]
정부가 압박카드로 내놓은 유가보조금 지급 중단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중지는 시간이 더 걸립니다.
유가보조금은 법을 바꿔야 하는데, 국회에서 다수인 야당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통행료 감면은 정부가 시행령을 바꾸면 되지만 절차를 다 따른다면 한 달 넘게 걸립니다.
국토부 관계자도 이번 파업보다는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대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화물차주들도 어차피 유명무실한 지원이었다며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박경수/화물차주 : "화주가 운반비에서 그걸(보조금) 깎고, 거의 운송료를 깎고 주기 때문에 별반 실질적으로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습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건설노조 등이 화물연대의 지지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민주노총은 오늘 오후 전국 15곳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이경민/화면제공:국토교통부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